본문 바로가기
  • 저와 함께 아름다운 대자연을 찾아서 즐거움과 행복이 넘치는 여행을 떠나 보아요!

전체 글2025

양력(陽曆) 9월 23일은 24절기 중 16번째 절기인 추분(秋分)입니다. ♣. 24절기 중 16번째 절기 추분(秋分).24절기 중 열여섯 번째 절기인 추분(秋分)은, 열다섯 번째 절기인 백로(白露)와 열일곱 번째 절기인 한로(寒露) 사이에 들며, 음력 8월, 양력 9월 22일~ 23일경입니다.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인 황도(黃道)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聯動)됩니다. 추분(秋分)은 태양의 황경(黃經)이 180°인 날로 대개 양력 9월 23일 무렵입니다. 봄철 절기인 춘분(春分)으로부터 꼭 반년째(6개월) 되는 날로, 이날 추분점(秋分點)에 이르러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게 됩니다.추분(秋分)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며, 겨울철 절기인 동지(冬至)에 밤의 길이가 최고조에 이르게 됩니다. 추분(秋分)도 다른 24절기들과 마찬가지로 특별히 절일.. 2025. 9. 23.
풀잎에 흰 이슬이 맺힌다는 백로(白露) 절기. ♣24절기 중 15번째 절기 백로(白露).태양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정한 24절기 중 열다섯 번째 절기인 백로(白露)는, 열네 번째 절기인 처서(處暑)와 열여섯 번째 절기인 추분(秋分) 사이에 들게 됩니다. 백로(白露)는 음력은 중추월(仲秋月=음력 8월), 양력은 9월8일~ 9일 무렵으로 대개 음력 8월에 들며,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황경(黃經) 165도를 통과할 때입니다. ☻백로(白露) 절기는 대개 음력 8월에 들지만, 음력 6월 윤달(閏年=윤달이나 윤일이 드는 해. 실제로 지구가 태양을 일주하는 데 365일 5시간 48분 46초가 걸리므로 양력에서는 4년마다 한 번씩 2월을 29일로 하고, 음력에서는 5년에 두 번씩 .. 2025. 9. 7.
음력 7월 15일은 백중(百中)입니다. ♣음력 7월 백중(百中).음력 7월 15일 ‘백중(百中)’은 이 무렵에 과일과 소채(蔬菜=심어서 가꾸어 먹는 채소)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100가지 곡식의 종자(種子=씨앗)를 갖추어놓은 데서 유래된 명칭(名稱=이름)이라고 합니다. 이날 사찰(寺刹=절)에서는 재(齋=죽은 이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부처에게 드리는 공양)를 올리고 공양(供養=부처 앞에 음식물이나 재물 등을 바침)을 드렸으며, 민간에서는 100가지의 과일을 차려 제사를 지내고 남녀가 모여 음식을 먹고 노래와 춤을 즐겼다고 전해 지고 있습니다. 농촌에서는 벼농사의 세 번째 김매기가 끝난 후 여름철 농한기(農閑期=농사일이 바쁘지 않아 한가한 시기)에 휴식을 취하는 날로, 농민들의 여름철 축제로 굳건하게 자리 잡았으며, 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으며 .. 2025. 9. 6.
오늘은 음력 7월 7일 칠석(七夕)입니다. ♣. 음력 7월 7일 칠석(七夕).음력 7월 7일은 양수(陽數)인 홀수 7이 겹치는 날이어서 길일(吉日=복되고 운 좋은 일이 있을 조짐이 있는 날)이라 하여,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대만 등에서는 칠석(七夕)이라고 하여 세시풍속(歲時風俗=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해 온 고유의 풍속)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음력 7월 7일 칠석(七夕)은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까마귀와 까막까치들이 놓은 오작교(烏鵲橋=음력 칠월 칠석에 견우와 직녀를 서로 만나게 하려고, 까마귀와 까치가 은하수에 모여서 자기들의 몸을 잇대어 만든다는 다리)에서 한 해에 한 번씩 만난다는 날로, 중국, 우리나라, 일본, 대만 등에서 전승(傳承=문화, 풍속, 제도 등을 이어받아 계승함)되는 설화(說話=어느 민족이나 집단에 예로부터.. 2025. 8. 29.
지나간 음력 6월 15일은 유두절(流頭節)입니다. ♣. 음력 6월 15일 유두절(流頭節).유두(流頭)는 그해 액(厄=모질고 사나운 운수)을 떨치고 농사가 잘되기를 바라는 날이기도 하며, 신라 때부터 전해 내려온 우리나라 민족 고유의 전통 세시풍속(歲時風俗=한 해의 절기나 달, 계절에 따라 민간에서 전하여 온 풍속)이 담긴 명절 중 하나입니다. 매년 음력 6월 15일 삼복(三伏)중에 들어 있는 유두절(流頭節)은, 유둣날, 또는 물맞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유두(流頭)는 다른 이름으로 소두(梳頭), 수두(水頭)라고도 합니다. 수두(水頭)란 물 마리, 여기서 마리는, 머리의 옛말로 ‘물맞이’라는 뜻입니다. 현재도 옛날 신라의 옛 땅인 경상도 지방에서는 유두(流頭)를 ‘물맞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유두(流頭)는 추석(秋夕), 설날, 단오(端午), 음력 정월대보.. 2025. 8. 29.
오늘은 일 년 24절기 중 14번째 절기인 처서(處暑)입니다. ♣. 24절기 중 14번째 절기 처서(處暑).태양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정한 24절기 중 14번째 절기인 처서(處暑)는 13번째 절기인 입추(立秋)와 15번째 절기인 백로(白露) 사이에 들며, 태양이 황경(黃經) 150도에 달한 시점으로 양력은 8월 23일 무렵이고, 음력은 7월 15일 무렵 이후에 들게 됩니다. ‘처서(處暑)’는 여름이 지나 더위도 가시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의미로, 여름철 무더위가 멈춘다는 뜻에서 처서(處暑)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다른 말로 음력 7월을 가리키는 중기(中期=길지도 짧지도 않은 중간쯤 되는 기간)이기도 합니다. 주역(周易) 괘(卦)로는 불과 태양을 상징하는 리(離) 괘(卦)에 배속됩니다.또한 처서(處暑)가 지나면 여름철 따가운 햇볕의 기세가 한풀 꺾.. 2025.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