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991

오늘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는 음력 3월3일 삼짇날입니다.

대구광역시 서구 와룡산 용미봉에 활짝 핀 진달래꽃입니다.☻음력 3월 3일 삼짇날.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을 가리키는 말. 이날은 설날(음력 1월 1일), 단오(端午=음력 5월 5일), 칠석(七夕=음력 7월 7일), 중양절(重陽節=음력 9월 9일)처럼 양수(陽數)가 겹치는 좋은 날로 알려져 있습니다. 삼짇날은 봄을 알리는 명절인데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고도 하며, 삼월삼질, 삼짓(삼짇날의 준말), 삼샛 날 또는 여자의 날이라고도 합니다. 한자어로는 삼중일(三重日), 삼진일(三辰日), 중삼일(重三日), 상제일(上除日), 답청절(踏靑節), 계음일(禊飮日) 이라고도 합니다. 또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고, 뱀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나오기 시작하는 날이라 하여 뱀 ‘사(巳)’자를 넣어서 상사일(上巳日..

오늘은 24절기(節氣) 중 4번째 절기(節氣)인 춘분(春分)입니다.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운동 기념 공원에 핀 홍매화, 백매화입니다.☻24절기 중 4번째 절기 춘분(春分).24절기 중 4번째 절기인 춘분(春分)은 세 번째 절기인 경칩(驚蟄)과 다섯 번째 절기인 청명(淸明)의 중간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軌道)인 황도(黃道)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連動/聯動)됩니다. 춘분(春分)은 음력 2월, 양력 3월 20~21일 무렵에 드는 절기입니다. 춘분(春分)은 태양의 황경(黃經)이 0도인 날로 추분(秋分)으로부터 꼭 반년째 되는 날인 6개월째 되는 날입니다. 이날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赤道=지구의 중심을 지나면서 지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자른 단면이 지표와 만나는 선) 통과 하는 점으로, 황도(黃道)..

나그네새이자 겨울 철새인 큰기러기.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큰기러기.조류(鳥類) 분류(分類)에서 큰기러기는 척추동물 조강(鳥綱=척추동물에 속한 강), 기러기목(目), 오릿과(科)의 야생조류(野生鳥類)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서식(棲息=동물들이 깃들여 삶)하는 오릿과(科)의 조류(鳥類)는 149종(種)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45종(種)이 우리나라에 서식(棲息)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 오릿과(科)의 조류(鳥類)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서식(棲息)하고 있는 기러기류(類)는 14종(種)이 있고, 한국(韓國)에서 서식(棲息)하는 기러기는 큰기러기, 큰부리기러기, 개리, 쇠기러기, 흑기러기, 회색기러기 등 6종(種)이 있습니다. 이 중 큰기러기는 한국(韓國)을 찾아오는 기러기류(類) 중에서 쇠기러기 다음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

우리나라 겨울 철새이자 텃새인 흰뺨검둥오리 이야기.

☻흰뺨검둥오리는 다른 야생 오리처럼 암컷과 수컷이 함께 다니며 생활하지만, 암컷과 수컷의 깃털과 외모가 똑같아서 구별이 쉽지 않습니다.☻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흰뺨검둥오리.오릿과 조류(鳥類)는 지구상에 149종(種)이 서식(棲息=동물이 깃들여 삶)하고 있으며, 이 중 우리나라에는 45종(種)이 있습니다. 흰뺨검둥오리는 청둥오리속(屬)의 조류(鳥類)이며, 우리나라에 서식(棲息)하고 있는 청둥오리속(屬)은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쇠오리, 넓적부리, 비오리, 흰비오리, 고방오리, 청머리오리, 등 12종(種)이 있습니다. 또 흰뺨검둥오리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서식(棲息)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낙동강(洛東江)을 비롯한 소규모 하천(河川)과 저수지(貯水池) 등지에서 가장 많은 수가 번식(繁殖)하며, 특..

오늘은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입니다.

작년 여름에 만난 개구리입니다. 제가 유년 시절만 해도 들녘의 논이나 밭 그리고 산과 개울, 강에서 개구리를 흔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고독성 농약을 살포하고 각종 오염 물질로 인하여 환경이 오염되면서 개구리가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그나마 오염이 되지 않은 곳에서는 이렇게 귀여운 개구리를 만날 수도 있습니다.☻24절기 중 3번째 절기 경칩(驚蟄).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세 번째 절기인 경칩(驚蟄)은 두 번째 절기인 우수(雨水)와 네 번째 절기인 춘분(春分)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軌道=행성이나 혜성, 인공위성 따위가 중력의 영향을 받아, 다른 천체의 주위를 돌면서 그리는 일정한 곡선의 길)인 황도(黃道=지구를 중심으로 한 천구상의 태양..

우리와 너무나 친숙한 겨울 철새이자 텃새인 청둥오리 이야기.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청둥오리.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겨울 철새 오리 종류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種)입니다. 요즘은 지구의 온난화로 인하여 기후와 환경이 변화면서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야생 오리류 중에서 흰뺨검둥오리와 함께 겨울 철새이지만, 점점 우리나라에서 사계절을 보내는 텃새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청둥오리 분류는 척추동물, 기러기목, 오릿과(科), 오리속(屬) 조류(鳥類)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겨울 철새 중에서도 흰뺨검둥오리와 함께 개체 수(마릿수)가 가장 많습니다. 기러기목 오릿과에 속하는 야생 오리이며, 대부분 가금(家禽=집에서 기르는 오리) 오리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서식지(棲息地=동물이나 조류가 보금자리를 만들어 사는 장소)는 북반구(北半球) 지역에 ..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야생 오리 홍머리오리.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홍머리오리.홍머리오리는 척추동물, 조강(鳥綱=척추동물 속에 속한 강), 기러기목(目), 오릿과(科)로 분류되는 야생 오리입니다. 주요 서식지(棲息地=동물이 보금자리를 만들어 사는 장소), 유럽과 아시아 대륙의 북쪽, 북아메리카 대륙인 미국 동부와 서부 해안 지역입니다. 겨울철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유럽과 아시아 대륙 온대기후지역(溫帶氣候地域=일반적으로 날씨가 따뜻하며 적당량의 비가 내리고 사계절이 뚜렷한 지역), 아한대 지역(亞寒帶 地域=온대와 한 대 사이에 있으며, 비교적 온도가 높고 기간이 짧은 여름과 추위가 심하고 겨울이 긴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월동(越冬=겨울을 보냄)합니다. 우리나라에는 9월 하순부터 찾아와 4월 하순까지 머물다 북쪽으로 돌아가..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야생 오리 물닭.

야생 오리 물닭입니다.야생 홍머리오리와 물닭입니다. 홍머리오리는 머리가 붉은색입니다.※겨울 철새와 여름 철새, 나그네새.우리가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조류(鳥類)는 크게 텃새와 겨울 철새, 여름 철새, 나그네새가 있습니다. 철새는 계절이 바뀌면 서식(棲息) 환경에 맞추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새입니다. 반면 텃새는 우리나라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모두 보내면서 한곳에서 평생 살아가는 새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여름 철새는 제비, 뻐꾸기, 왜가리, 백로 등이 있습니다. 겨울 철새는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큰기러기, 두루미, 큰고니, 물닭, 홍머리오리 등 야생 오리류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 중에서도 겨울 철새는 우리나라보다 추운 북쪽 지역에서 사는 새들입니다. 이 겨울 철새..

2025.2.18. 오늘은 24절기 중 두 번째 절기인 우수(雨水)입니다.

작년 늦가을에 우리나라를 찾아와 추운 겨울을 보낸 고니들도 우수(雨水)와 경칩(驚蟄)을 지나면 또다시 북녘으로 돌아갑니다. 남녘에서 서서히 북상하고 있는 따뜻한 봄기운을 만끽하면서 고니들이 한가롭게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24절기 중 2번째 절기 우수(雨水).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두 번째 절기인 우수(雨水)는, 봄이 들어선다는 첫 번째 절기인 입춘(立春)과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놀라서 깬다는 세 번째 절기인 경칩(驚蟄)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24 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軌道)인 황도(黃道)의 움직임을 기본적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聯動)됩니다. 우수(雨水)는 태양의 황경(黃經)이 330도인 날로 음력은 정월(正月) 양력은 2월 19~20일 무렵이며, 입춘(立春)으..

오늘은 음력 정월(음력1월 15일) 대보름 명절입니다.

흰뺨검둥오리입니다. 수년 전만 하여도 청둥오리와 함께 우리나라에는 늦은 가을에 찾아와 겨울을 보내고 봄이면 북쪽으로 돌아가는 겨울 철새였습니다. 그러나 요즘 우리나라 기후가 변화면서 봄, 여름, 가을, 겨울 이렇게 사게절 내내 우리나라에서 살면서 이제는 겨울 철새가 아닌 텃새가 되어 우리나라 날씨와 환경에 적응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음력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새로 해를 시작하는 정월(음력 1월) 명절인 설날(음력 1월 1일)을 지나고 첫 번째로 돌아오는 음력 1월 15일을 정월 대보름이라고 합니다. 정월 대보름은 다른 이름으로 오기일(烏忌日=까마귀 제삿날), 원소절(原宵節=정월보름의 명절), 원석절(元夕節=정월보름의 명절), 원야(元夜=정월 대보름날), 원석(元夕=음력 정월 대보름날의 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