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겨울철새.

2022.12.19. 겨울 철새의 보고(寶庫)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탐조여행(探鳥旅行) 청둥오리,비오리,민물가마우지,물닭-2.

풀꽃사랑s 2023. 1. 30. 15:20

청둥오리들이 무리를 지어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들이 무리를 지어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 가족이 유영을 즐기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알락오리들이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 가족이 유영을 즐기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 가족이 유영을 즐기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민물가마우지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 가족이 먹이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 가족이 먹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 가족이 먹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민물가마우지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우리나라 텃새 민물가마우지.

가마우지는 가마우짓과에 딸린 주로 물에서 생활하면서 살아가는 조류입니다. 부리가 길고 끝이 구부러져 물고기를 잡기에 알맞은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어 헤엄을 잘 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마우지는 크게 바다가마우지, 쇠가마우지, 민물가마우지 등이 있습니다. 바다가마우지는 일반적으로 가마우지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있습니다. 육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민물가마우지는 우리나라 텃새이지만, 여름새인 바다가마우지와 겨울새인 쇠가마우지는 철새입니다.

민물가마우지는 척추동물, 조강(鳥綱=척추동물에 속한 강), 사다새목(), 가마우짓과() 조류입니다. 해외 주요 서식지(棲息地=동물이 보금자리를 만들어 사는 장소)는 유럽과 아시아 지역인 일본과 중국 그리고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동쪽 연안 등 넓은 지역입니다. 지리적(地理的=일정한 곳의 지형이나 길 따위의 형편과 관련된 것) 6 아종(亞種)이 있습니다.

아종(亞種)은 생물학적 종()의 하위 단계로 크게 아종(亞種), 변종(變種), 품종(品種) 이렇게 3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아종(亞種)은 같은 종()이지만 지리적으로 다르거나 환경에 적응한 양상이 달라서 형태가 달라진 경우입니다.

변종(變種)은 주로 식물의 경우에 볼 수 있는데, 고추와 피망의 관계처럼 기본적 유전자는 같지만, 자연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성질과 형태가 달라져 새로운 특징이 나타난 경우를 말합니다.

품종(品種)은 인간에 의한 인공적인 돌연변이에 의해서 개량된 종()을 말하는데, 가축이나 원예 작물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민물가마우지 서식지(棲息地)는 낙동강 하구, 충청남도 서산 간월호, 강원도 동해안 석호, 한강 하구 비무장지대, 이 밖에 우리나라 전 지역 얕은 바다나 강 하구, 그리고 간척지, 하천, 호수 등에서 무리 지어 생활합니다. 민물가마우지는 몸길이가 77~100, 몸무게가 2.6~3.7, 날개 길이는 30~35정도 되는 중대형 물새입니다. 다른 새들과 뚜렷하게 구별이 되며,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생긴 모양새)는 동일(同一=같다)합니다. 이마와 머리, , 그리고 어깨 사이와 등, 가슴, , 옆구리, 허리, 위꼬리덮깃은 청록색을 띤 검은색이며, 등 양쪽과 어깨 깃은 어두운 갈색입니다. 이 밖에 얼굴과 멱(목의 앞쪽)은 크림색(노르스름한 빛이 옅게 도는 흰색)입니다.

부리는 가늘고 길며 윗부리 끝이 아래로 굽어 있습니다. 부리 기부(부리 끝에서 머리뼈와 부리가 만나는 지점)에서 눈 아래까지는 노란색 피부가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 밖에 부리 기부와 노란색과 흰색 뺨이 만나는 부분이 둥그스름합니다. 특히 부리의 살가죽인 기부는 노란색으로 폭이 좁고, 부리의 살가죽에서 눈 뒤까지는 흰색으로 부위가 넓으며, 각이 진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발에는 물갈퀴가 있습니다. 날 때 날개의 위치가 몸 중앙에 있어 멀리서 보면 기러기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번식(繁殖)은 나무 위에 무리 지어 번식하며, 암초나 죽은 나뭇가지와 마른 풀을 이용하여 오목한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듭니다. 산란기(産卵期=알을 낳는 시기)5월 하순에서 7월이며, 한꺼번에 낳는 알의 수는 4~5개입니다. 암컷이 알을 품는 기간은 약 25~34일이며, 알에서 부화(孵化=동물의 알 속에서 새끼가 껍데기를 깨고 밖으로 나옴) 새끼는 약 40~50일간 둥지에 머물게 됩니다. 민물가마우지는 번식기(繁殖期)에는 머리에 가느다란 흰색의 깃이 나오며 옆구리에 흰색의 깃털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요 번식지(繁殖地)는 한강 하구 비무장지대 내 유도 섬, 그리고 강원도 춘천 소양호, 서울 팔당호 인근 족자도 섬 등지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러시아 연해주, 사할린에서 일본 규슈 북부까지, 국지적(局地的=일정한 지역에 한정된 것)으로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둥지를 만들 때 민물가마우지는 호수나 강 근처 소나무 숲에, 바다가마우지는 해안의 절벽에 둥지를 틀고 알을 낳습니다.

먹이 습성(習性=생물의 동일 종() 내에서 공통되는 선천적인 행동 양식이나 존재 양식)은 주로 어류(魚類=물고기)를 즐겨 먹습니다. 주로 호수, 강 하류, 바닷가에서 2m 이상의 수심까지 잠수하여 물고기를 잡아먹습니다. 먹이를 구하는 곳과 휴식하는 곳으로 이동할 때 기러기처럼 일정한 대형으로 무리 지어 날아갑니다. 잠수 능력은 뛰어나지만, 깃털의 방수력(防水力=물이 배어들지 않도록 하는 힘)은 좋지 않아 암초(暗礁=물 위쪽에 드러나지 않고 물속에 숨어 있는 험한 바위나 산호) 등에서 날개를 벌려 깃털을 말리는 행동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턱 아래쪽에는 잡은 고기를 임시 저장하는 주머니가 발달해 있습니다.

가마우지들은 잠수를 매우 잘하는 조류로, 부리 끝이 갈고리 모양을 한 뾰족한 주둥이를 갖고 있어, 보통 30초쯤 5~10m 깊이까지 잠수하여 물고기를 아주 잘 잡습니다. 가마우지의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중국이나 일본 일부 지역에서는, 현재도 가마우지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데 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참고 문헌-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국립중앙과학관-조류도감, 텃새 과학관.

민물가마우지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비오리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비오리.

10월 중순에 우리나라를 찾아와 4월 중순까지 관찰되는 비오리는 척추동물, 조강(鳥綱=척추동물에 속한 강), 기러기목(), 오리과() 겨울철새입니다. 비오리는 머리 부분에 난 갈기(동물이나 새의 목덜미에 난 깃털) 와 같은 깃털이 마치 빗으로 빗어 놓은 듯 단정하고 멋지다고 하여, ‘비오리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른다고 합니다. 서식지(棲息地=동물들이 보금자리를 만들어 사는 장소)는 유럽과 아시아 대륙, 그리고 북아메리카대륙의 아한대(亞寒帶=지구 표면을 기온에 의해서 분류한 기후대(氣候帶) 가운데 하나, 온대와 한 대 사이에 있으며, 비교적 온도가 높고 기간이 짧은 여름과 추위가 심하고 기간이 긴 겨울이 특징입니다) 온대(溫帶=한대와 열대의 중간 지역, 위도상으로는 대략 회귀선에서 극권 사이, 등온선(等溫線)에 의한 구분으로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섭씨 18도 이하부터 섭씨 영하 3도 이상 사이의 지역을 이른다) 지역입니다.

겨울철이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유럽, 인도 동부, 미얀마, 중국 동부, 일본, 북미 남부에서 월동(越冬)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겨울철새이며, 월동(越冬)할 때는 주로 내륙의 호수, 댐 등지에서 무리를 이루어 생활합니다. 이 중 일부는 바다와 만나는 하구(河口=강물이 바다로 흘러가는 어귀), 하천(河川=)에서도 서식(棲息)합니다. 월동(越冬) 중에는 소리를 내어 시끄럽게 울지 않으며 조용하게 생활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주요 겨울을 나는 주요 서식지(棲息地)는 해안, 해만(海灣=바다와 만), 하구(河口=강물이 바다로 흘러가는 어귀), 하천(河川=), 호수, 저수지, 호서(湖西=충청도)지방에서 쉽게 관찰되며, 최근 강원도 동강을 비롯한 강원도 일부 산간 계곡 일부 지역입니다.

몸길이는 약 60~66, 몸무게는 약 1.05~1.25입니다. 비오리 수컷과 암컷은 깃털이나 부리의 색 등이 약간 다른 점이 있습니다. 수컷의 머리와 윗목 부분은 녹색을 띠는 검은색이며, 아랫목과 가슴 옆구리는 흰색입니다. 배는 연한 붉은빛이 도는 흰색입니다. 첫째 날개깃(새의 날개에 있는 깃털)은 검은색, 둘째 날개깃과 날개덮깃(새의 날개를 덮고 있는 깃털)은 흰색이고, 부리와 다리는 붉은색입니다. 어깨깃(날개가 붙는 부분에 난 몇 개의 긴 깃털) 바깥쪽은 흰색이고 안쪽과 등은 검은색입니다. 바다비오리와 달리 뒷머리에 관우(冠羽=머리 위에 닭 볏처럼 나 있는 깃털)가 길지 않습니다.

암컷은 머리가 갈색이고 관우((冠羽=머리 위에 닭 볏처럼 나 있는 깃털) 가 있으며, 목은 흰색이고 가슴과 배는 흰색입니다. 옆구리는 회색으로 검은색 파도 모양의 가는 가로줄이 촘촘히 있습니다. 밤색(갈색)의 머리와 흰색 목의 경계가 뚜렷합니다. 둘째 날개깃(새의 날개에 있는 깃털)은 흰색, 날개덮깃(새의 날개를 덮고 있는 깃털)은 회색입니다. 부리는 어두운 붉은색이며, 앞 끝과 윗부리의 가장자리(바깥쪽)는 검은색입니다. 다리는 황색을 띤 붉은 색입니다. 주요 형질(形質=생물의 종류에 따라 나눌 때 그 기준이 되는 모든 형태적 특징)은 암컷과 수컷 모두 붉은색 부리는 폭이 좁고 길며, 윗부리 끝이 아래로 굽은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번식(繁殖)은 유럽과 아시아 대륙, 북아메리카대륙의 아한대(亞寒帶=지구 표면을 기온에 의해서 분류한 기후대(氣候帶) 가운데 하나, 온대와 한 대 사이에 있으며, 비교적 온도가 높고 기간이 짧은 여름과 추위가 심하고 기간이 긴 겨울이 특징입니다) 온대(溫帶=한대와 열대의 중간 지역, 위도상으로는 대략 회귀선에서 극권 사이, 등온선(等溫線)에 의한 구분으로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섭씨 18도 이하부터 섭씨 영하 3도 이상 사이의 지역을 이른다) 지역에서 합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강원도 동강을 비롯한 강원도 일부 산간 계곡에서도 번식(繁殖)이 확인되고 있다고 합니다. 둥지는 개울가의 구멍이나 나무구멍, 인공 새집 등에서 하며, 알을 낳는 시기는 4~6월 무렵입니다. 한배(한번)에 약 9~10개의 알을 낳아 암컷이 약 32~35일간 알을 품어서 새끼를 부화(孵化=동물의 알 속에서 새끼가 껍데길 깨고 밖으로 나옴)합니다. 알에서 부화(孵化)한 새끼를 암컷이 약 60~70일간 기웁니다.

식성(食性=음식에 대하여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성미)은 잡식성(雜食性=동물성 먹이와 식물성 먹이를 가리지 않고 다 먹는 동물의 습성)으로, 어류가 주식이며 때로는 곤충도 먹습니다. 날카로운 부리를 이용하여 얕은 물에서 물고기를 잡아먹지만, 가끔 깊은 곳까지 잠수하여 먹이를 찾는 때도 있습니다. 먹이 사냥할 때는 일정한 대형을 이루어 무리의 앞에서부터 차례로 잠수해 먹이를 사냥합니다. 어린 새일 때에는 다량의 수서곤충(水棲昆蟲=바다, 호수, 하천 등의 물속에서 생활하는 곤충)을 먹습니다. 참고 문헌-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다음 백과, 국립중앙과학관-조류도감.

비오리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 가족이 먹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 가족이 먹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청둥오리 가족이 먹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겨울 철새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물닭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2.19.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보.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참으로 세월 한번 빨리 흘러간다는 것을 실감하게 됩니다. 계묘년(癸卯年) 새해가 밝은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1월 말일입니다. 요 며칠 맹위를 떨치던 매서운 한파도 이제는 그 기세가 한풀 꺾이면서, 오늘은 어제보다 훨씬 날씨가 따뜻한 것을 피부로 실감하게 됩니다. 오늘부터 실내 마스크가 일부 해제되었습니다. 물론 아직은 병원이나 공공장소,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하지만, 점차 실내 마스크 착용이 완전하게 해제될 날도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새롭게 또 새로운 한 주를 시작하는 월요일입니다. 오늘도 즐거움과 행복이 넘치는 월요일 잘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