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의 만남

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여름 여행 싱그러운 능소화.

풀꽃사랑s 2023. 6. 21. 16:49

문익점 선생 동상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문익점 선생과 동상에 대한 안내 설명문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남평문씨(南平文氏) 본리(本里) 인흥세거지(仁興世居地).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달성군(達城君) 화원읍(花園邑) 본리리(本里理) 401-2호에 아담하게 자리 잡은, 남평문씨(南平文氏) 본리(本里) 인흥세거지(仁興世居地)는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민속자료 제3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곳은 고려말(高麗末)의 충신(忠臣)이며, 원나라로부터 목화씨를 가져와 우리나라 의복문화(衣服文化)에 혁신(革新)을 가져온, 충선공(忠宣公) 문익점(文益漸)18세손인 인산재(人山齎) 문경호(文敬鎬)1840년을 전후하여 터를 잡은 남평문씨(南平文氏) 본리(本里) 인흥세거지(仁興世居地)입니다.

원래 이곳에는 삼국시대인 신라시대에서 통일신라 시대까지 인흥사(仁興寺)라는 대형 사찰(寺刹)이 있었던 곳으로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기록이 되어 전해지고 있습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저자(著者)인 보각국사(譜閣國師) 일연선사(一然禪師)의 건의로 사액(賜額=예전에, 임금이 사당, 서원 등에 이름을 지어서 그것을 새긴 액자를 내리는 일을 이르는 말) 개칭(改稱=건물의 이름을 고침)된 인흥사(仁興寺)라는 사찰(寺刹=)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후 어떤 연유로 규모가 큰 사찰(寺刹) 이었던 인흥사(仁興寺)가 허물어졌는지는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으며, 현재는 돌로 쌓아 올린 삼층석탑(三層石塔)만 남아 있습니다.

인흥사(仁興寺) 절터로 알려진 인흥(仁興)마을에는 현재 큰집과 작은 집으로 이루어진 아홉(9) 채의 기와집과 재실(齋室) 두채(2) 그리고 인수문고(仁壽文庫)와 부속건물들이 한울 속에 정연히 자리를 잡고 있으며, 풍치(風致=고상하고 훌륭한 운치나 경치) 있는 토담(흙으로 쌓아 올린 담)으로 둘러싸인 부지(敷地=집이나 공장 따위의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만드는 데에 쓰이는 땅) 안에, 70여 채의 전통와가(傳統瓦家=기와집)가 들어서 있습니다.

특히 재실((齋室) 광거당(廣居堂)은 옛 사우(師友=스승과 벗을 아울러 이르는 말)들이 모여 강론(講論)하던 곳이고, 수봉정사(壽峯精舍)는 갖가지 모임의 장소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 목조 건물의 전형과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드문 문중 문고(門中文庫)로 수만의 소중한 전적(典籍=)들을 수장(收藏)하고 있으며, 열람과 독서를 위한 거경서사(居敬書舍)와 문고를 보관하는 중곡서고(中谷書庫)도 같이 건립되어 있습니다.

특히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남평문씨(南平文氏) 본리(本里) 인흥세거지(仁興世居地) 인흥마을은 봄에는 아름다운 매화, 여름에는 능소화가 아름답기로 유명하게 알려져 있습니다. 매년 봄이면 홍매화, 백매화, 분홍매화, 청매화를 보려고 전국에서 많은 상춘객이 찾아옵니다. 또한 여름철 능소화가 아름답게 필 무렵이면 전국에서 많은 사진작가와 관광객이 찾아오는 명소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남평문씨본리세거지 안내문.

목화밭입니다. 가을이면 새하얀 목화 열매가 밭을 가득하게 메우게 됩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목화밭입니다. 가을이면 새하얀 목화 열매가 밭을 가득하게 메우게 됩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목화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붓과 목화씨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옛날 인흥사 석탑입니다. 고려 시대 이곳에 인흥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열매가 키위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포도도 주렁주렁 열렸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열매가 키위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능소화(凌霄花).

하늘을 능가하는 꽃이라 불리는 능소화는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주 오랜 옛날부터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들여온 귀화식물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양반들이 이 나무를 좋아하여 양반꽃이라고도 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양반이 아닌 일반 평민들은 능소화나무를 함부로 심고 재배하지 못하게 했다는 재미있는 설()이 전해지고 있기도 합니다. 추위에 약하여 주로 남부지방에서 집안 정원에 관상수로 많이 재배하고 있습니다. 능소화의 뿌리와 줄기, 잎은 한약재로 이용합니다. 꽃말은 정열’, ‘명예‘, ’기다림‘, ’그리움입니다.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흙담 위에 아름답게 핀 능소화꽃입니다. 이미지 촬영=2023.6.20.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본리1리 남평문씨인흥세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24절기 중 10번째 절기 하지(夏至).

24절기 중 열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인 하지(夏至)9번째 절기인 망종(芒種)11번째 절기인 소서(小暑)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5, 양력은 621~622일 무렵이 됩니다. 천문학적으로는 일 년 중 북반구(北半球=적도를 중심으로 지구를 둘로 나누었을 때 북쪽 부분에 해당하는 지역, 북반구는 전 세계 육지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남반구에 비해 육지의 비율이 높다)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며, 정오(亭午=12)에 태양 높이가 가장 높고, 일사(日射=햇볕이 내리쬠) 시간과 일사량(日射量=땅의 표면에 도달한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도 가장 많은 날입니다. 반대로 남반구(南半球=적도를 경계로 둘로 나누었을 때의 남쪽에 해당하는 부분. 북반구에 비하여 바다의 면적이 육지보다 훨씬 넓다)에서는 북반구(北半球)와 반대로 하지(夏至)에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정오(亭午)의 태양 높이도 가장 낮습니다. 하지(夏至) 무렵 북극지방(北極地方)에서는 온종일 해가 지지 않으며, 남극(南極)에서는 수평선(水平線=하늘과 바다가 멀리 맞닿아 경계를 이루는 선) 위에 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북반구(北半球) 지역인 우리나라는 하지(夏至) 무렵 정오(亭午)의 태양 높이가 가장 높고, 일사(日射) 시간과 일사량(日射量)도 가장 많은 날이 됩니다. 24절기 중 22번째 절기인 동지(冬至)에 가장 길었던 밤이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여, 하지(夏至)에 가장 짧아지는 반면, 낮 시간은 1년 중 가장 길어져 무려 14시간 35분이 됩니다.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고 낮의 길이가 길어서 북반구(北半球)의 지표면(地表面=땅의 겉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습니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서 하지(夏至) 이후로는 기온이 상승하면서 본격적인 무더운 여름 날씨가 시작됩니다.

고려사(高麗史=조선 시대, 세종 때 왕명으로 정인지(鄭麟趾), 김종서(金宗瑞) 등이 개찬한, 고려 왕조의 기전체 역사책)에 따르면 5월 중기(中期=중간의 시기)인 하지(夏至) 기간 15일을 5일씩 끊어 3(=기후<氣候>, 절기<節氣>)로 나누었는데, 초후(初候)에는 사슴이 뿔을 갈고, 차후(次候)에는 매미가 울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반하(半夏=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덩이뿌리로 밭에서 자라며 독성이 강하지만 한약재로 이용)의 알이 생긴다는 기록이 전해 지고 있습니다.

하지(夏至) 무렵이면 장마와 가뭄 대비도 해야 하므로 농촌에서는 일 년 중 추수와 더불어 가장 바쁜 철이 됩니다. 메밀 파종, 누에치기, 감자 수확, 고추밭매기, 마늘 수확 및 건조, 보리 수확 및 타작, 모내기, 그루갈이용(같은 경작지에서 일 년에 두 번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 이모작) 늦콩 심기, 대마 수확, 병충해 방제 등이 모두 하지(夏至) 무렵에 이루어집니다. 남부지방에서는 음력 5월 단오(端午=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5일로, 그네뛰기나 씨름, 탈춤, 가면극 등의 놀이를 즐기며, 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다)를 전후하여 시작된 모내기가 하지(夏至) 무렵에는 모두 끝나는데, 이때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됩니다.

하지(夏至) 무렵에는 구름만 지나가도 비가 온다는 뜻으로 하지(夏至)가 지나면 구름장마다 비가 내린다.”라는 속담(俗談=오랜 세월을 거쳐 삶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이나 어떠한 가치에 대한 견해를, 간결하고도 형상적인 언어 형식으로 표현한 말)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옛날에 보온용 비닐 못자리가 나오기 이전 이모작을 하는 남부 지역에서는 하지(夏至) “() 3, () 3이라 하여 모심기의 적기로 여겼습니다. 하지(夏至)가 지나면 모심기가 늦어지기 때문에 서둘러 모내기해야 했습니다. “하지(夏至)가 지나면 오전에 심은 모와, 오후에 심은 모가 다르다.”라는 속담은 여기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또한 하지(夏至)날 비가 오면 그해 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옛날 농촌에서는 흔히 하지(夏至)가 지날 때까지 비가 내리지 않으면 기우제(祈雨祭=고려와 조선 시대, 가뭄이 심해 하지<夏至>가 지나도록 비가 오지 않을 때 나라나 민가에서 비가 오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를 이르던 말)를 지내는데,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3~4년에 한 번씩 한재(旱災=가뭄으로 인해 생기는 재앙)가 있어서 조정과 민간을 막론하고 기우제(祈雨祭)를 올리는 일이 많았습니다. ()에 관한 관심은 이미 단군신화(檀君神話=우리나라 시조인 단군의 출생과 건국에 대한 신화)에 나타나 있습니다. 환웅(桓雄=우리나라 단군신화(檀君神話>에 나오는 인물. 환인(桓因)의 아들이며 단군(檀君)의 아버지로, 천부인(天符印) 세 개와 부하 3,000명을 거느리고 태백산(太白山=백두산(白頭山) 이전 명칭) 신단수(神壇樹) 밑에 내려와 신시(神市)를 건설하고, 웅녀(熊女)와 결혼하여 단군을 낳았다고 한다)이 거느리고 하강했다는 풍백(風伯), 우사(雨師), 운사(雲師) 이렇게 세신은 모두 비에 관한 신이니, 비에 관한 관심은 절대적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농작물은 생육하면서 물이 필요하며, 물은 곧 비를 의미합니다. 특히 농업의 주종을 이루는 벼농사의 원산지가 고온다습한 동남아지역이고, 우리나라는 주로 장마철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므로 그 전과 후인 하지(夏至) 무렵까지 가뭄이 계속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수리시설이 부족한 때일수록 기우제(祈雨祭)가 성행하였습니다. 한 해 농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이 바로 비()였으므로 기우제(祈雨祭)는 연중행사였으며, 가능한 모든 방법이 동원되었습니다. 주로 농촌에서는 산이나 냇가에 제단(祭壇)을 만들고, 마을 전체의 공동 행사로 기우제(祈雨祭)를 지냈습니다. 제주(祭主=제사를 주관하거나 주장이 되는 사람)는 마을의 장이나 지방관청의 장이 맡고, 돼지, , , 과일, , , 명태포 등을 제물로 올렸습니다. 때에 따라서는 무속인(巫俗人=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이 제()를 관장(管掌=일을 맡아서 다룸)하기도 합니다. 강원도 평창군 일대에서는 하지(夏至) 무렵 감자를 캐어 밥에다 하나라도 넣어 먹어야 감자가 잘 열린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또 하짓(夏至)날 강원도지역에서는 파삭한 햇감자를 캐어 쪄먹거나 갈아서 감자전을 부쳐 먹는다고 합니다. 참고 문헌-한국 민족 대백과 사전, 한국 세시 풍속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