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

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초가을 여행, 비둘기와 흰뺨검둥오리.

풀꽃사랑s 2023. 9. 23. 16:54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비둘기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올벼를 수확한 논에 흰뺨검둥오리가 먹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3.9.20. 대구광역시 북구 학정동 경북농업기술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24절기 중 16번째 절기 추분(秋分).

24절기 중 열여섯 번째 절기인 추분(秋分)은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에 들며, 음력 8, 양력 923일경입니다. 24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인 황도(黃道)의 움직임을 기본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聯動)됩니다. 추분(秋分)은 태양의 황경(黃經)180°인 날로 대개 양력 923일 무렵입니다. 봄철 절기인 춘분(春分)으로부터 꼭 반년째(6개월) 되는 날로, 이날 추분점(秋分點)에 이르러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게 됩니다.

추분(秋分)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며, 겨울철 절기인 동지(冬至)에 밤의 길이가 최고조에 이르게 됩니다. 추분(秋分)도 다른 24절기들과 마찬가지로 특별히 절일(節日=명절과 국경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지정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다만 춘분(春分)과 더불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으므로, 이날을 중심으로 계절의 분기점(分岐點=사물의 속성 따위가 바뀌어 갈라지는 지점이나 시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추분(秋分)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므로 비로소 여름이 가고, 가을이 왔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되는 계절의 기준점이 됩니다. 쉽게 말해 천문학적(天文學的)으로 태양이 황경(黃經) 180°의 추분점(秋分點)을 통과할 때를 말합니다. 추분점(秋分點)이란 천구상(天球上) 황도(黃道)와 적도(赤道)의 교점(交點) 가운데서, 태양이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으로 적경(赤經)과 황경(黃經)이 모두 180°, 적위(赤緯)와 황위(黃緯) 모두 이며, 현재는 사자자리와 처녀자리의 중간에 있습니다.

천구상(天球上)=지구 위의 관측자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무한대인 구면을 상정하여 모든 천체를 그곳에 투영해서 나타내는 가상의 구. 황도(黃道)=지구를 중심으로 한 천구상의 궤도. 적도(赤道)=지구의 중심을 지나면서 지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자른 단면이 지표와 만나는 선. 교점(交點)=서로 만나는 점. 적경(赤經)=천구상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도 좌표에서의 경도. 황경(黃經)=춘분점으로부터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잰 천제의 각거리. 적위(赤緯)=천구상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도 좌표에서의 위도. 황위(黃緯)=황도 좌표계에서 황도면과 천체가 이루는 각의 거리.

추분(秋分)’이란 말은 가을()의 분기점()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중국의 전통 의학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 중국 진<>나라, <>나라 때 편찬되었다고 알려진 중국 최고의 의학서), ()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기원전 948, 중국 당<>나라의 정사<正史>를 적은 책), ()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중국 원나라 때, 곽수경<郭守敬>, 왕순<王恂> 등이 만든 달력. 1281년부터 쓰였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高麗> 25 대왕인 충렬왕<忠烈王> 때 도입되었다) 등 여러 문헌에서 추분(秋分) 기간을 5일 단위로 3()로 구분하고, 초후(初候)에는 우렛소리(천둥이 치는 소리)가 그치고, 중후(中候)에는 동면할 벌레가 흙으로 입구를 막으며, 말후(末候)에는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추분(秋分) 기간에 대한 이런 묘사는 조선 초에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년 조선<朝鮮> 4대 왕인 세종<世宗> 26년에 이순지<李純之>와 김담<金淡>이 편찬한 역서<曆書>. <>나라의 수시력<授時曆>에 대한 해설서입니다. 칠정<七政>이란 일, 월과 오성<五星> 즉 목성<木星>, 화성<火星>, 금성<金星>, 수성<水星>5개의 행성<行星>을 가리킨 것으로, 이 해설서에서는 이들 천체의 운행에 관한 자료가 다루어져 있습니다) 등 우리나라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어 그 기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추분(秋分)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므로 이날을 중심으로 여름이 끝나고 가을이 시작된다는, 계절의 분기점(分岐點)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추분(秋分)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기 때문에 여름이 가고 가을이 왔음을 실감하게 됩니다. 가을 절기인 추분(秋分)과 봄 절기인 춘분(春分)은 모두 밤낮의 길이가 같은 시기이지만, 기온을 비교해보면 추분(秋分)에 약 10정도가 높습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직 여름의 더위가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가을 절기인 추분(秋分)에는 천둥과 벼락이 사라지고 벌레는 땅속으로 숨고 물이 마르기 시작합니다. 또한 여름철 내내 우리나라에 머물고 있던 북태평양 고기압이 물러난 빈자리를 메우려고, 남쪽에서 태풍이 자주 북상하는 때이기도 합니다.

추분(秋分)이 지나면 농촌에서는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목화를 따고, 고추도 따서 말리며 그 밖에도 잡다한 가을걷이 일로 인하여 다시 바쁜 농번기가 시작됩니다. 습도가 높지 않고 날씨가 청명하고 맑은 날이 많아서, 각종 여름 채소인 호박고지(애호박을 얇게 썰어 말린 찬거리), 박고지(씨가 여물지 않은 박을 얇게 썰어 말린 찬거리), 깻잎, 고구마순도 이맘때 수확하고, 산채(山菜=산에서 나는 나물)를 말려 묵나물을 준비하여, 추운 겨울철 찬거리를 미리 준비합니다.

추분(秋分)에는 특별한 민간 풍속(風俗)이 있지는 않지만, 조선 중기 문신 신속(申洬)이 펴낸 농가집성(農家集成=조선 인조 때, 신속(申洬)이 엮어 낸, 농사를 권하는 책)과 이 책에 포함된 사시찬요초(四時纂要抄=조선시대의 농서) 등에 의하면, 추분(秋分) 무렵의 시절 음식(時節飮食)으로는 버섯요리가 대표적이며, 가을 추수에 힘써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각종 여름 채소들과 산나물 등을 말려 겨울철을 위해 비축(備蓄= 저장)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고려시대(高麗時代)와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추분(秋分)을 맞아 인간(人間)의 수명(壽命)을 관장(管掌=일을 맡아서 다룸)하는 별인 노인성(老人星=남극 부근의 하늘에 있는 별)에 국가에서 제사(祭祀)를 지냈다고 합니다. 노인성(老人星)은 남반구(南半球=적도를 경계로 지구를 둘로 나누었을 때의 남쪽에 해당하는 부분)의 별자리에 있는 별인데 한반도(韓半島)에서는 여름철에는 보이지 않고, 제주도와 남해에서 추분(秋分)과 춘분(春分) 사이에만 관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추분(秋分)에 노인성(老人星)이 나타나면 길하고 보아, 나라에서 평안과 국민의 안녕을 비는 제사(祭祀)를 지냈다고 합니다. 이러한 노인성제(老人星祭)는 고려시대(高麗時代) 때부터 시행되었으며,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소사(小祀=조선시대 나라에서 지내던 소규모의 제사)로 사전(祀典=제사 지내는 예의에 관한 법도)에 등재되었다고 합니다.

추분(秋分)에 부는 바람을 보고 이듬해(어떤 해의 바로 다음에 오는 해) 농사를 점치는 풍속(風俗)이 있다고 합니다. 추분(秋分)에 건조한 바람이 불면 다음 해 풍년(豊年)이 든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만약 추분(秋分)이 사일(社日=입춘이나 입추가 지난 뒤 각각 다섯째의 무일<戊日=민속 천간(天干)이 무()로 된 날>. 입춘 뒤를 춘사<春社>, 입추 뒤를 추사<秋社>에는 곡식의 수확에 감사한다) 앞에 있으면 쌀이 귀하고 뒤에 있으면 풍년(豊年)이 든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 밖에 바람이 건방(乾方=팔방과 이십 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과 정서<正西> 사이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15도와 45도 각도 안의 방향) 이나 손방(巽方=팔방과 이십 사방위의 하나. 정동<正東>과 정남<正南> 사이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15도와 45도 각도 안의 방향)에서 불어오면 다음 해에 큰바람이 있고, 감방(坎方=팔방의 하나. 정북<正北>을 중심으로 한 45도 각도 안의 방향으로 북쪽을 이른다)에서 불어오면 겨울이 몹시 춥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또 적은 비가 내리면 길하고 날이 개면 흉년(凶年)이 든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丁若鏞)의 아들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조선 말기, 정학유가 지었다는 가사(歌辭). 권농(勸農)을 주제로 하여 농가에서 일 년 동안 해야 할 일을 달의 순성 따라 노래하였다) “8월령(음력이므로 대체로 양력 9월 무렵에 해당)에 백로(白露), 추분(秋分) 절기에 대한 당시 농촌 풍습이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참고 문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다음 백과, 한국세시풍속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