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생식물.

우리나라 자생식물 붉은 열매가 일품인 관상수(觀賞樹) 백량금(百兩金).

풀꽃사랑s 2022. 1. 14. 15:36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백량금(百兩金).

백량금(百兩金)은 장미목(薔薇), 자금우과(紫金牛科), 자금우속(紫金牛屬) 상록활엽관목(常綠闊葉灌木-큰 잎사귀의 나뭇잎이 일 년 사계절 내내 잎이 떨어지지 않고 늘 푸른 관목)입니다.

관목(灌木)-일반적으로 사람의 키보다 작고 원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으며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나무. 유사어(類似語)로 교목(喬木)이 있습니다.

자금우과(紫金牛科) 백량금은 전 세계적으로 250()이 있습니다. 백량금(百兩金)의 원산지(原産地)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中國), 대만(臺灣), 인도(印度),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입니다. 이 밖에 호주, 미국 등 열대와 아열대 그리고 온대지역에의 습기가 많은 숲속에서 자생합니다. 일본에서는 중국(中國)에서 들여와 정원수(庭園樹)로 개발한 원예품종(園藝品種)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백량금(百兩金)은 남해안(南海岸)과 제주도(濟州道)의 표고 700m 이하 계곡(溪谷)이나 숲속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난대(暖帶) 수종(樹種)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백량금(百兩金) 자생지(自生地)는 전라남도(全羅南道), 홍도(紅島), 경상남도(慶尙南道), 제주도(濟州道), 울릉도(鬱陵島), 거문도(巨文島)입니다.

백량금(百兩金)은 다른 이름으로 탱자 아재비, 선꽃나무, 그늘 백량금(百兩金)이란 이름을 붙여서 부르기도 합니다. 백량금의 학명(學名)Ardisia crenata Sims(아르디시아 크레나타 심스)입니다. 유사종(類似種)으로 우리나라 제주도(濟州道)에 왕백량금(王百兩金)이 있습니다.

 

백량금(百兩金)이란 나무 이름을 처음 접한 분이라면 혹시 돈과 관련된 이름이 아닐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돈과는 특별한 인연(因緣)이 없습니다. 백량금(百兩金)이라는 이름은 중국(中國)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을 뿐이라고 합니다. 20 세기초(世紀初-1901) 우리나라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식물(植物)을 처음으로 조사(調査)하여 통일(統一)된 이름을 정하면서, 대부분 옛날부터 사용해오던 우리나라 고유(固有)의 이름을 그대로 표기(表記)했습니다. 그러나 정확하고 적절한 이름이 없을 때, 혹은 한약재(韓藥材)로 이용하고 있는 나무나 식물은 중국(中國) 이름을 그대로 인용(引用)하여 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자생(自生) 백량금(百兩金)은 뿌리를 자르면 붉은 점이 있다고 하여 중국(中國)에서는 주사근(朱砂根)’이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中國)에는 주사근과 비슷하고 학명(學名)‘Ardisia crispa(아르디시아 크리스파)’라는 나무가 있는데, 이나무의 원래 중국(中國) 이름이 백량금(百兩金)이었습니다. 식물학자(植物學者)들이 중국(中國) 이름을 빌려다 붙이면서 주사근(朱砂根)이라고 표기(表記)해야 했으나, 착오(錯誤)로 유사(類似) 종류(種類)인 백량금(百兩金)이라고 표기(表記)해 해버렸습니다.

 

원종(原種)인 중국(中國) 백량금(百兩金)은 주사근(朱砂根)보다 잎이 조금 더 가늘고 긴 것 외에는, 모든 면에서 두 품종이 너무 나 유사(類似)했습니다. 여기에다 우리나라에서는 백량금(百兩金)이라는 식물이 자라지 않는 탓에 전문학자(傳文學者)들도 실수로 주사근(朱砂根), 백량금(百兩金)으로 잘못 표기(表記)하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된 연유(緣由)에는 참고문헌(參考文獻)으로 이용한 중국(中國) 원예서(園藝書)인 본초강목(本草綱目)에 기록(記錄)된 설명이 영향(影響)을 준 것도 있다고 합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중국(中國) ()나라의 이시진(李時珍)30년에 걸쳐 지은 본초학(本草學) 연구서(硏究書). 약용(藥用)으로 쓰이는 대부분의 자연(自然) 분류(分類)를 주로 하여, 1,800여 종()을 분류(分類)해서 형상(形狀), 처방(處方) 등을 적은 약학서(藥學書)이다. 종래의 본초학서(本草學書)를 정리하여 약()의 올바른 이름을 강()이라 하고, 해석(解釋)한 이름은 목()이라 하였다. 1590년경에 52권으로 간행(刊行)되었습니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일본(日本)에서는 중국(中國) 백량금(百兩金)을 가져다 정원수(庭園樹)로 육종(育種) 한 이름을 백량금(百兩金)이 아닌 만량(萬兩)’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있습니다. 이렇게 이름이 같은 동일식물(同一植物)을 두고 중국(中國)에서는 주사근(朱砂根), 우리나라에서는 백량금(百兩金), 일본(日本)에서는 만량(萬兩)으로 서로 다른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있습니다.

 

백량금(百兩金)의 키는 60~1m 정도입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灰褐色)으로 평활(平滑-평평하고 매끄럽다)합니다. 큰 나무라 하여도 키가 1m가 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백량금(百兩金)은 나무의 키가 다른 나무에 비해 작지만, 곧추선 하나의 원줄기를 가지지만 갈라지는 것도 있으며, 줄기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집니다. 나뭇가지와 잎은 대체로 줄기 끝에 모여 달립니다. 작은 가지는 녹색(綠色)으로 줄기에 비하여 휠씬 가늘고 윗부분에 6~8개가 모여 나며 3년째가 되면 떨어져 버리므로, 가지가 옆으로 퍼지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뿌리는 지하(地下)의 굵은 뿌리가 3~5개가 모여 덩이뿌리 상태를 이룹니다. 나뭇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길이 7~12. 폭은 2~4의 좁고 긴 타원형(楕圓形-길이가 길쭉한 원형)이며, 끝이 뾰족한 피침형(披針形)이며 점첨두(漸尖頭-뾰족한 잎)입니다.

 

잎의 가장자리(식물잎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물결 모양의 거치(鋸齒-식물의 잎이나 꽃잎 가장자리에 있는, 톱날의 이처럼 뾰족뾰족하게 베어져 들어간 자국)가 주름져 있습니다. 잎의 가장자리에 있는 물결 모양의 둔한 톱니 사이에는 박테리아에 의한 선모(腺毛=샘털-물질을 분비하는 성질이 있는 식물체 표면의 털)가 있습니다. 가죽질인 잎은 광택(光澤)이 있으며 표면(表面)은 짙은 녹색(綠色), 뒷면은 연한 녹색(綠色)이며, 엽병(葉柄-잎자루)의 길이는 5~10입니다. 측맥(側脈-주맥에서 양옆으로 뻗어나간 잎맥)10~20쌍입니다.

 

개화기(開花期)는 초여름부터 한여름까지인 6~8월이고, 흰 바탕에 검은 점이 있는 꽃이 꽃차례의 줄기와 가지 끝에 산형(繖形) 꽃차례(次例), 20~35개의 양성화(兩性花-한 꽃 속에 수술과 암술이 모두 있는 꽃)가 핍니다. 산형(繖形) 꽃차례(次例)-무한꽃차례의 일종으로서, 꽃차례 축()의 끝에 작은 꽃자루를 갖는 꽃들이 방사상으로 배열한 꽃차례.

꽃받침은 예두(銳頭-뾰족한 형태의 머리)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난형(卵形-달걀형) 또는 짧은 원형(圓形)입니다. 길이는 1.5이고 검은색의 끈끈이 점이 있습니다. 암술은 1개로 화관(花冠-꽃 한 송이에 있는 꽃잎 전부를 이르는 말) 조각과 같은 길이입니다. 수술은 5개로 화관(花冠) 조각보다 짧고, 꽃밥(수술 끝에 달린 꽃가루를 담고 있는 주머니)은 피침형(披針形)으로 검은색 끈끈이 점이 있습니다. 꽃부리(꽃 한 송이에 있는 꽃잎 전부를 이르는 말)도 끝이 수레바퀴 모양으로 5갈래로 갈라지는데 지름이 8이고 흰색이며 검은색 점이 있습니다.

화관(花冠)-과 꽃부리는 같은 뜻의 식물용어입니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생육환경(生育環境).

백량금(百兩金)은 남부지방의 상록수림(常綠樹林-사계절 내내 푸른 숲)에서 햇빛을 거의 받지 않고 자라는 나무입니다. 생육 최적온도(最適溫度)10~25, 최저온도(最低溫度)는 영하 5입니다. 이 밖에 상록수림(常綠樹林) 하부(下部-아래쪽 부분)에 자금우 등과 혼재(混栽-두 종류 이상의 식물을 섞어서 심음)하며 성질(性質)이 강건(剛健)하여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한 식물입니다. 그러나 내한성(耐寒性-추위를 견디는 성질), 내공해성(耐公害性-나무나 농작물 따위가 공해를 입지 않고 잘 견디는 성질)이 약하므로 중부지방의 노지재배(露地栽培-보통의 밭이나 화단에 농작물 따위를 기름)나 남부지방, 도심지에서는 재배(栽培)가 어렵습니다. 내조성(耐潮性-염분이 섞여 있는 축축한 해풍에 견디는 정도)과 내음성(耐陰性-식물이 그늘진 곳에서도 광합성을 하여 독립 영양을 취할 수 있는 성질)은 강하여 바닷가의 나무 밑에서도 잘 자라고 번성(蕃盛-나무나 풀이 무성함)하고, 생장속도(生長速度)가 빠르지만, 맹아력(萌芽力-식물이 싹이 트는 힘) 좋지만 추위와 공해에 잘 못 견디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밖에 생육(生育)에 적합(適合)한 토양(土壤) 반 그늘진 곳으로 물 빠짐이 좋은 사질양토(砂質壤土-모래에 진흙이 비교적 적게 섞인 보드라운 흙)에서 잘 자랍니다.

 

자생지(自生地)인 전라남도(全羅南道), 홍도(紅島), 경상남도(慶尙南道), 제주도(濟州道), 울릉도(鬱陵島), 거문도(巨文島) 이외, 지역에서는 노지재배(露地栽培)가 불가능하고 실내(室內)에서 화분(花盆)에 기르거나, 일정한(一定) 온도(溫度)가 유지(維持)되는 온실(溫室)에서만 재배(栽培)할 수 있습니다.

 

번식방법(繁殖方法).

식물(植物)은 종류(種類)에 따라서 쉽게 싹을 틔우는 식물(植物)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식물(植物)도 있습니다. 백량금(百兩金)은 쉽게 싹을 틔울 수 있어 번식(繁殖)이 쉽습니다.

씨앗도 잘 틔우고 삽목(揷木-꺾꽂이)도 잘되어 다산(多産)의 의미(意味)도 담고 있습니다. 이따금 열매가 달린 채로 싹을 틔우기도 합니다. 씨앗이 발아(發芽)가 잘되는 만큼 열매를 채취(採取)하여 심어보는 것도, 백양금(百兩金)을 가꾸는 하나의 재미가 될 수 있습니다. 종자(種子)를 파종(播種) 후 발아(發芽)한 싹에서 꽃이 피고 열매가 맺기까지는 5~6년이란 긴 시간이 소요됩니다.

 

백량금(百兩金)은 종자번식(種子繁殖)과 삽목번식(揷木繁殖)을 이용합니다. 종자번식(種子繁殖)은 가을에 성숙(成熟)한 종자(種子)를 채취(採取)하여 과육(果肉)을 제거한 후 아 토닉 2,000배 액에 4~5일간 침적(沈積-물속에 가라앉아 쌓임)하였다가 파종(播種)하면 발아(發芽-싹이 돋아남)가 촉진(促進)됩니다. 이 밖에 종자(種子)2~3월에 채취(採取) 즉시 파종(播種)하면 절반 정도 싹이 나옵니다. 여름 장마철에 정아삽(頂芽揷-꺾꽂이를 할 때 정아(頂芽)가 붙은 선단 부위를 잘라 삽목(揷木)하는 일)을 하면 새 뿌리가 잘 내립니다. 정아(頂芽)-식물의 가지나 줄기 끝에 생기는 눈.

 

백량금(百兩金) 재배(栽培) 포인트.

. 관수(灌水)는 겉흙이 마르면 뿌리까지 흠뻑 젖을 정도로 충분(充分)한 양()을 줍니다.

화분(花盆)에 재배(栽培)하면 화분(花盆) 아래쪽 구멍으로 물이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한 양을 줍니다.

. 겨울철에도 기후(氣候)가 따뜻한 남부지방에서는 노지(露地)에서도 월동(越冬-겨울을 남)할 수가 있습니다. 그 밖의 중부지방이나 북부지방에서는 노지(露地)에서 월동(越冬)할 수가 없습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월동(越冬)하려면 실내(室內)나 비닐하우스, 온실(溫室)에서 가능합니다.

. 백량금(百兩金)은 몸집이 큰 나무 아래에서 자라는 식물(植物)로 반음지(半陰地-절반 정도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랍니다. 직사광선(直射光線-정면으로 곧게 비취는 광선) 피하되, 밝은 빛은 꽃과 열매를 맺는 데 꼭 필요합니다. 백량금(百兩金)은 쉽게 기를 수 있는 식물(植物)이지만 빛이 부족(不足)하면 꽃이 피지 않고 열매도 맺기 힘들게 됩니다. 생육(生育)에 필요한 비료(肥料)는 봄, 여름, 가을에 줍니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수목원 열대식물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백량금(百兩金)6~8월에 작은 백색(白色)의 꽃이 피었다가 꽃이 진 자리에 둥글고 콩알 크기만 한 열매가 가득 열려, 9월이 되면 붉은색으로 익습니다. 열매는 핵과(核果-부드러운 과육 속에 단단한 핵으로 싸인 씨가 들어 있는 열매)로 둥글고 지름이 10이며, 9월에 익어서 이듬해 꽃이 다시 피는 시기인 6월까지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습니다. 뭉쳐서 달린 열매는 습기(濕氣)가 충분(充分)할 때는 달린 채로 제자리에서 발아(發芽-싹이 돋아남)가 되기도 합니다.

백량금(百兩金)은 영상 5이상인 지역에서는 노지(露地)에서도 월동(越冬)할 수 있(可能)습니다.

 

백량금(百兩金) 용도(用途).

백량금(百兩金)은 제주도(濟州道)와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수(庭園樹), 중부지방에서는 추위에 약해 실내(室內)에서 잎이나 열매를 보는 관엽식물(觀葉植物-주로 잎사귀의 모양이나 빛깔의 아름다움을 보고 즐기기 위하여 기르는 식물) 이용합니다. 이 밖에 실내(室內) 조경수(造景樹)로 심거나, 화분(花盆)에 심어 즐길 만한 전통적(傳統的)인 분재수목(盆栽樹木)으로 이용합니다. 붉은색으로 잘 익은 매혹적(魅惑的-유혹)인 열매는 8~9개월간 나무에 매달려 있어 관상가치(觀賞價値)가 있고, 주름진 푸른 잎은 사계절(四季節) 내내 아름답습니다.

 

한방(韓方)에서는 백양금(百兩金)의 뿌리를 주사근(朱砂根), 잎은 주사근엽(朱砂根葉)이라 하여 한약재(韓藥材)로 씁니다. 주로 호흡기(呼吸器) 감염증(感染症)으로 인한 해수(咳嗽-목이나 기관지의 점막이 자극받아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세찬 호흡 운동), 편도선염(扁桃腺炎), 급성인후염(急性咽喉炎), 디프테리아 증상(症狀)에 씁니다. 이 밖에 풍습성관절염(風濕性關節炎-습기 찬 기후에 더 아파지는 관절염)과 타박상(打撲傷)에도 유효(有效)하며, 살갗이 벌겋게 되면서 화끈거리고 열이 나는 병증(病症)과 림프샘염에도 치료(治療) 효과(效果)가 있습니다. ()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散劑-가루약) 하여 사용하며, 열매는 술을 담가서 이용합니다.

 

백량금(百兩金) 유사종(類似種).

백량금(百兩金)과 유사(類似)한 품종(品種)에는 왕백량금(王白兩金), 자금우(紫金牛), 산호수(珊瑚樹)가 있습니다.

. 왕백량금(王白兩金)-자금우과(紫金牛科)에 속한 상록관목(常綠灌木)으로, 원줄기 높이가 2m 내외이고 잎의 길이가 12이며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제주도(濟州道)에서 자생(自生)하고 있습니다.

. 자금우(紫金牛)-백량금(白兩金)과 같은 자금우과(紫金牛科)에 속한 상록관목(常綠灌木) 식물(植物)입니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줄기가 나오고, 나무의 높이는 15~20정도로 자랍니다. 여름에 흰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밑을 향해 피고 가을에 열매가 붉은색으로 익습니다. 우리나라 중국(中國), 대만(臺灣), 일본(日本) 등지에 분포(分布)합니다. 백량금(白兩金)과 모든 것이 비슷하게 생긴 식물(植物)입니다.

. 산호수(珊瑚樹).-자금우과(紫金牛科)에 속한 상록 소관목(常綠小灌木). 옆으로 뻗는 땅속줄기의 군데군데에서 줄기가 나와 높이 5~8자랍니다. 원형(圓形)이 돌려나고 6월에 흰 꽃이 산형 꽃차례로 달립니다. 9월에 붉은색으로 열매가 익습니다. 우리나라 제주도(濟州道)를 비롯하여 일본(日本) 남쪽에 분포(分布)합니다. 실내(室內)에서도 잘 자라고 늘어지는 덩굴성이라 실내화단(室內花壇)에서는, 지피 식물(地被植物-자라면서 토양을 덮어 풍해나 수해를 방지하여 주는 식물)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이 밖에 공중(空中) 걸이 분()에 넣어 장식(粧飾)하기도 합니다. 백량금(百兩金)의 꽃말은 () 있는 사람’, ‘()’, ‘재산(財産)’입니다.

참고문헌-우리 나무의 세계 2, 하초를 기르기 시작하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식물,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익생양술대전, 다음 백과, 꽃과 나무 사전.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
이미지 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열대식물원 온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