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늦가을에 우리나라를 찾아와 추운 겨울을 보낸 고니들도 우수(雨水)와 경칩(驚蟄)을 지나면 또다시 북녘으로 돌아갑니다. 남녘에서 서서히 북상하고 있는 따뜻한 봄기운을 만끽하면서 고니들이 한가롭게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24절기 중 2번째 절기 우수(雨水).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두 번째 절기인 우수(雨水)는, 봄이 들어선다는 첫 번째 절기인 입춘(立春)과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놀라서 깬다는 세 번째 절기인 경칩(驚蟄)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24 절기는 기본적으로 태양의 궤도(軌道)인 황도(黃道)의 움직임을 기본적으로 정해지므로 양력 날짜에 연동(聯動)됩니다. 우수(雨水)는 태양의 황경(黃經)이 330도인 날로 음력은 정월(正月) 양력은 2월 19~20일 무렵이며, 입춘(立春)으로부터 15일 후에 들며,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기도 합니다. 또 우수(雨水)는 봄에 해당하는 6절기(立春, 雨水, 驚蟄, 春分, 淸明, 穀雨) 중 두 번째 절기로 봄의 초입에 조금씩 들어설 때입니다.
‘우수(雨水)’라는 말은 눈(雪) 대신 비(雨)비가 내리고 강의 얼음이 녹아 물(水)이 되어 흐른다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 옛날 중국의 전통의학서(傳統醫學書)인 황제내경(黃帝內經=기원전 475~221년)에 계절의 변화와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된 이래, 당나라의 역사서인 구당서(舊唐書=945년),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년) 등 여러 문헌에 우수(雨水) 입기일(入氣日=우수 절기가 시작되는 날) 이후 15일을 5일간씩 나누어 삼후(三候)로 구분하고, 초후(初後)에는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 늘어놓고, 중후(中候)에는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말후(末候)에는 나뭇가지에 싹이 돋고 풀이 자라기 시작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우수(雨水) 기간에 대해 이런 묘사를 고려사(高麗史) 그리고 조선 초 이순지(李純之) 등이 펴낸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년) 등 우리나라의 여러 문헌에도 인용되고 있는데, 중국 문헌에 기록된 절기는 옛날 중국 주(周)나라 때 화북(華北=지금의 화베이 지방으로 베이징과 텐진이 있는 지역)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기술된 것이어서 우리나라의 기후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우수(雨水) 무렵이면 꽃샘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우수 경칩이 되면 대동강 풀도 풀린다.”라는 속담처럼 우수(雨水) 경칩(驚蟄)을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가 많이 풀리고 나뭇가지에 새싹이 돋기 시작합니다. 이른바 매서운 겨울 추위는 물러나고 따뜻한 봄이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음력(陰曆) 태음태양력(太陰太陽歷=태음력을 기초로 하고 윤달을 두어 태양력과 절충한 역법. 우리나라의 음력, 유대력, 그리스력, 중국력이 이에 해당한다)에서 음력 정월(正月=음력 1월)은 계절상 봄에 해당합니다. 우수절기풍속(雨水節氣風俗)으로는 우수가 되면 농촌에서는 농부들이 논둑과 밭두렁을 태워 풀숲에서 겨울을 지낸 해충을 제거합니다.
◆우수(雨水)절기에 즐겨 먹는 절식(節食).
우수(雨水)절기는 시기에 따라서 음력 정월대보름(음력 1월 15일)과 겹칠 때가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우수(雨水)절기에 즐겨 먹는 절식(節食) 또한, 음력 정월대보름에 먹는 것과 같습니다. 우수(雨水)절기 대표 음식은 오곡밥, 묵나물, 부름, 귀밝이술입니다.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는 찹쌀, 찰수수, 차조, 검은콩, 붉은팥 등의 5가지 곡식을 섞어서 지은 오곡밥과 함께, 박나물, 가지, 호박, 무청(시래기), 고사리, 토란 줄기 나물에 양념하여 기름에 볶다가 물을 조금 두른 후 뚜껑을 덮어 푹 뜸을 들인 묵나물을 즐겨 먹습니다. 또 1년 내내 부스럼이 없도록 기원하며 밤, 호두, 은행, 잣, 땅콩 등 견과류로 부름을 깼습니다. 여기에 곁들여 귀가 밝아지라는 의미에서 귀밝이술을 마셨습니다. ※자료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다음 백과, 한국 세시풍속 사전, 인터넷 검색.
작년 늦가을에 우리나라를 찾아와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는 큰기러기입니다. 큰기러기는 우리나라에서 3월 말일까지 머물다가 북녘으로 돌아갑니다. 몸집은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와 비슷합니다.
작년 늦가을에 우리나라를 찾아와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는 흰죽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3월 말일까지 머물다가 북녘으로 돌아갑니다. 몸집은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와 비슷합니다. 흰죽지오리는 물속으로 잠수할 수 있는 잠수 오리이기도 합니다. 큰고니,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 등은 머리와 몸통만 물속에 넣을 수 있지만 흰죽지는 몸 전체를 물속에 넣을 수 있습니다.
작년 늦가을에 우리나라를 찾아와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는 물닭입니다. 우리나라에서 3월 말일까지 머물다가 북녘으로 돌아갑니다. 몸집은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보다 조금 작습니다. 몸집이 닭과 비슷하게 닮았다고 하여 물닭이라고 한답니다. 물닭 역시 물속으로 잠수할 수 있는 잠수 오리입니다. 또 발바닥의 물갈퀴가 다른 야생 오리와 달리 특이하여 물 위를 빠른 속도로 뛰어다닐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세시 풍속 명절과 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은 음력 정월(음력1월 15일) 대보름 명절입니다. (58) | 2025.02.12 |
---|---|
오늘은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立春) 절기(節氣)입니다. (55) | 2025.02.03 |
행복이 가득한 설 명절 연휴 잘 보내세요.^^^ (61) | 2025.01.29 |
甲辰年(갑진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49) | 2024.02.09 |
갑진년(甲辰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50) | 202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