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인장(仙人掌).
우리 주변에서 관상용(觀賞用) 많이 기르고 있는 다육식물(多肉植物)인 선인장(仙人掌)은 석죽목(石竹目), 선인장과(仙人掌科), 선인장속(仙人掌屬) 여러해살이 식물입니다. 자생지(自生地)는 주로 반건조지대(半乾燥地帶), 사막지역(沙漠地域), 고산지역(高山地域)으로 연 강우량(降雨量)이 20㎝ 이상이거나 안개 등에 의해 계속해서 수분(水分)이 공급되는 지역입니다.
※반건조지대(半乾燥地帶)-건조 지대와 습윤(濕潤) 지대의 중간 지대. 해마다 강수량(降水量)의 변동이 심하다. 비가 많이 내린 해는 수분이 과잉되지만, 비가 적게 내린 해는 심한 물 부족으로 관개하지(灌漑-농사를 짓는 데에 필요한 물을 논밭에 댐) 않는 한 농작물의 경작이 불가능하다. ※다육식물(多肉植物)-줄기나 잎 또는 식물체 전체가 두껍게 살이 찌고, 수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 식물.
선인장(仙人掌)은 다른 이름으로 백년초(百年草), 패왕수(霸王樹), 사보텐이라고도 합니다. 선인장과(仙人掌科)에 속하는 식물은 전 세계에 원예종(園藝種)과 야생종(野生種)을 포함하여 약 2,000종(種)이 있습니다. 종류별로 나누면 나뭇잎 선인장(仙人掌), 부채선인장(仙人掌), 기둥 선인장(仙人掌) 이렇게 3종류로 나누어집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선인장(仙人掌)은 선인장과(仙人掌科)에 딸린 식물의 총칭(總稱-전체를 통틀어서 일컬음)입니다. 원산지(原産地)는 북미지역(北美地域)인, 북아메리카와 멕시코를 중심으로 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대륙 주변의 섬 지역, 사막지역(沙漠地域), 해안가, 고산지대입니다. 이 밖에 일조량(日照量)이 풍부(豐富)하고 밤낮의 온도 차가 큰 곳입니다. 건조(乾燥)한 지역에도 잘 적응하여 자라며, 주로 열대지역(熱帶地域)에서 한 대(寒帶). 온대(溫帶) 지역까지 널리 분포(分布)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에도 날씨가 따뜻한 제주도(濟州道)에서는 노지(露地)에서도 자생(自生)하고 있습니다. 그 밖의 지방에서는 주로 화분(花盆)이나 온실(溫室) 등 실내(室內)에서 관상용(觀賞用)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선인장(仙人掌)이라고 하면 제일 먼저 물이 거의 없는 건조한 사막(沙漠)지역을 연상(聯想)하게 되고, 잎 대신 온몸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가시로 덮여있는 것을 연상(聯想)하게 됩니다. 다육식물(多肉植物)인 선인장(仙人掌) 종류(種類)는 물이 거의 없는 사막(沙漠)에서 자라지만, 어떤 종류(種類)는 해발 4,000m가 넘는 고산(高山)이나 몹시 추운 곳에서 견디는 종류(種類)도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은 크게 나뭇잎 선인장(仙人掌), 부채선인장(仙人掌), 기둥선인장(仙人掌) 이렇게 3종류(種類) 나누어집니다.
❶. 나뭇잎 선인장(仙人掌)-원산지는 남북, 중앙아메리카 열대, 아열대 산림지역입니다. 관목(灌木-일반적으로 사람의 키보다 작고 원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으며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나무)의 숲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잎이 퇴화할 필요도 없고, 줄기에 많은 물을 저장할 필요가 없습니다.
❷. 부채선인장(仙人掌)-원산지는 열대지역부터 냉, 온대 지역, 표고 4,000m의 고산지대입니다. 줄기가 납작한 부채를 여러 개 이어붙인 것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다른 이름으로 손바닥선인장(仙人掌)으로도 부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제주도(濟州道)에서 노지(露地)에 야생(野生)으로 자생(自生)하고 있는 품종이기도 합니다. 약용(藥用)으로 백년초(百年草)를 재배합니다. ※백년초(百年草)-선인장 품종의 하나. 크기는 30~40㎝정도 이고 줄기가 납작한 부채 모양을 여러 개 이어붙인 것처럼 생겼다. 4~5월에 열매에 꽃이 피고 11월~1월에 자주색(紫朱色)으로 열매가 익는데 열매는 식용한다.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자생하고 있습니다.
❸. 기둥선인장(仙人掌)-원산지는 세계 전 지역입니다. 다양한 기둥 모양을 한 선인장(仙人掌)입니다. 잎의 흔적이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잎이 없습니다. 가장 진화된 품종이며 모양이 다양하고 능선(稜線-선인장 표면의 주름)이 발달하였습니다.
사막(沙漠)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대부분 잎의 크기가 작은 것이 특징입니다. 이렇게 작은 잎은 수분의 증발량을 줄일 수 있고 큰 잎에 비해 식물 몸체의 체온(體溫)이 높이 올라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선인장(仙人掌)은 건조(乾燥)에 견디기 위해 줄기에 물을 많이 저장(貯藏)하고 있어 사막(沙漠)에 사는 동물(動物)의 먹잇감이 되기 쉽습니다. 이런 환경(環境)에서 살아남기 위해 선인장(仙人掌)은 잎을 가시로 퇴화(退化)시키고, 잎에서 하는 광합성(光合成-녹색 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흡수된 이산화탄소와 수분을 유기물과 산소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줄기에서 합니다. 선인장(仙人掌)은 퇴화(退化)된 잎을 이용해 온몸을 가시로 덮어 다른 동물(動物)에게 먹히는 것을 방어(防禦)하고 있습니다. 잎이 퇴화(退化)된 가시는 이슬을 조금씩 모아 뿌리로 보내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식물이 광합성(光合成)을 하면서 꼭 필요한 이산화탄소는 기공(氣孔)을 통해서 들어옵니다. 그러나 광합성(光合成)을 하면서 기공(氣孔)을 열게 되면 줄기와 잎, 뿌리에 있던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됩니다. 보통 식물들은 이산화탄소 분자(分子-각 물질의 화학적 성질을 가진 최소의 단위 입자)를 받아들이기 위해 100~600분자(分子)의 물이 氣孔(기공)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갑니다. 그러나 선인장(仙人掌)은 그보다 휠씬 적은 이산화탄소 한 분자(分子)당 10분자(分子)의 물이 외부로 빠져나갑니다. 이러한 원리(原理)가 가능한 이유는 선인장(仙人掌)만의 독특한 구조에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은 기공(氣孔)의 크기가 작고 숫자도 보통 식물보다 적게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공(氣孔)이 조직 깊숙이 들어가 있어 수분 손실을 줄이고 건조한 바람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 기공(氣孔)에 털이 있어 공기의 움직임을 줄여 물의 증발(蒸發-액체 상태에 있는 어떤 물질이 그 표면에서 기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을 억제합니다.
선인장(仙人掌)은 사막지역(沙漠地域)에서 살아남기 위해 독특한 광합성(光合成) 경로(經路)로 진화(進化)해 왔습니다. 보통의 식물은 뿌리로 흡수된 물의 97% 정도를 기공(氣孔) 통한 증산작용(蒸散作用-식물체 안의 수분이 수증기가 되어 몸 밖으로 배출되는 작용)으로 잃어버리게 됩니다. 또한 일반식물은 낮에는 기공(氣孔)을 닫으면 이산화탄소 공급(供給)이 중단되어 광합성(光合成) 효율(效率)이 떨어집니다. 그러나 선인장(仙人掌)은 낮 동안에 기공(氣孔)을 닫아 가장 뜨겁고 건조한 때에 증산작용(蒸散作用)을 막고 있습니다. 또한 선인장(仙人掌)은 밤에 기공(氣孔)을 열어 이산화탄소를 흡수(吸收), 저장(貯藏)한 후, 낮에 햇빛이 비칠 때 밤 동안 저장(貯藏)해둔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광합성(光合成)을 합니다. 이렇게 선인장(仙人掌)과(科) 다육식물(多肉植物)은 밤 동안 저장(貯藏)해 두었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므로 해서 광합성(光合成) 효율(效率)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선인장(仙人掌)을 비롯한 다육(多肉)이 식물을 실내(室內)에서 기르면 야간에 이산화탄소의 농도(濃度)를 감소(減少)시키는 효과(效果)를 볼 수가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같이 많은 사막식물(沙漠植物)은 잎과 줄기를 식물성 왁스로 덮어, 물의 증발(蒸發)을 줄이고 줄기를 크게 다육(多肉-식물의 잎이나 줄기, 과일 따위가 살이 많아 도톰함)으로 만들어 물을 많이 저장(貯藏)합니다. 또한 보통 식물은 뿌리를 땅속으로 깊이 내려 물을 찾는 데 이용하지만, 선인장(仙人掌)은 뿌리를 지표면(地表面)에 많이 분포(分布)시켜 비가 올 때 쉽게 물을 빨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 밖에 선인장(仙人掌)의 줄기 표면(表面)에는 깊은 주름이 있는 것들이 많은데, 이들 주름은 주변의 복사열에 의해서 줄기의 체온(體溫)이 지나치게 올라가지 않게 하는 라디에이터(radiator-주위에 얇은 금속판으로 된 핀을 많이 붙인 도관 속에 온수를 통하게 하여, 대기 속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장치) 역할을 합니다.
선인장(仙人掌)에서 잎처럼 보이는 둥글넓적한 몸체는 잎이 아니라 선인장(仙人掌)의 줄기가 가지입니다. 이처럼 선인장(仙人掌)은 다른 식물들과 달리 잎이 없고 다육질(多肉質)의 잘록한 마디 모양으로 큰 줄기가 연결되어 있는데, 마디 사이의 이런 줄기와 가지를 경절(莖節-줄기의 마디)이라고 합니다. 경절(莖節)은 길이 30㎝ 정도의 타원형 또는 도란형(倒卵形-달걀을 거꾸로 세운 것과 같은 모양)으로 편평(扁平)하고 짙은 녹색(綠色)입니다. 줄기는 보통 1~2m까지 자랍니다.
선인장(仙人掌)은 줄기가 생육(生育)에 필요한 영양분(營養分)을 만들고 저장(貯藏)하는 주된 기관(器官-다세포 생물에서, 생물체를 구성하여 나름의 특정한 생리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입니다. 줄기는 편평(扁平)하고 마디는 잘록하며 편평(扁平)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사방으로 퍼지는데 마디마디가 대개는 잇따라 서로 연결됩니다. 오래된 줄기는 굵고 둥글며 밑 부분은 목질(木質-나무질)로 변하고, 위쪽은 육질(果肉)이며 즙이 많으며 여기서 줄기가 사방으로 갈라집니다.
녹색(綠色)의 줄기에는 살이 많고 모양은 주로 기둥 모양, 둥근 모양, 긴 타원형(楕圓形)의 손바닥 모양이며, 두꺼운 다육질(多肉質)입니다. 녹색(綠色)의 줄기 표면(表面)에는 자좌(刺座-가시 자리)가 나오며 이곳에서 길이 1~3㎝의 가시가 2~5개씩 모여납니다. 가시 옆에는 갈색(褐色) 털이 있습니다. 일반식물과 달리 선인장(仙人掌) 줄기에는 광합성(光合成) 경로인 기공(氣孔)이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잎은 변형(變形)된 변태엽(變態葉-동화 작용 이외의 또 다른 특별한 작용을 위하여 잎의 형태가 변한 것)입니다. ※동화 작용(同化作用-생물이 외부로부터 섭취한 영양물(營養物)을 자기 몸에 알맞은 성분으로 변화시키는 작용)
선인장 새순에는 바늘 같은 육질(肉質)의 잎이 나와 있으나 충분히 자란 후에는 가시로 변하여 일찍 떨어집니다. 혀 모양으로 생긴 작은 잎들이 달렸던 둥글고 돌출(突出)된 부위를 자좌(刺座-가시 자리로 선인장의 생장점이며 실제로는 변형된 잎눈. 가시 자리에서 가시가 자라나고 잎, 곁가지, 꽃이 생깁니다)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많은 억센 털과 가시들이 달려 있습니다. 대부분 공 선인장(공-仙人掌-둥근 원형으로 이루어진 선인장)과 엽침(葉枕 仙人掌-잎자루에 있는 두툼한 부분이 있는 선인장)들은 줄기에 능선(稜線-줄기 표면에 나 있는 깊은 주름)이 있으며, 자좌(刺座)와 가시가 이 능선(稜線)을 따라 달립니다. 자좌(刺座)는 선인장(仙人掌)에만 있는 독특한 기관(器官-다세포 생물에서, 생물체를 구성하여 나름의 특정한 생리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입니다.
대부분의 선인장(仙人掌) 종류(種類)는 변태엽(變態葉)이 변해서 가시로 되어 있으며, 줄기에서는 광합성이 일어납니다. 줄기가 굵어 많은 양의 수분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잎이 가시로 되어 있으므로 물이 없는 건조한 사막에서도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은 줄기 대부분이 점액질 성분이 함유된 세포벽이 얇은 저장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점액질 성분이 수분의 손실을 막아줍니다. 부드럽고 탄력성(彈力性)이 좋은 줄기는 표피(表皮)에서도 수분흡수가 가능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한 기공(氣孔-식물의 잎이나 줄기의 겉껍질에 있는 작은 구멍)이 있습니다. 줄기 표면(表面)에 나 있는 깊은 주름은 식물의 체온(體溫)조절 기능과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수로(水路) 역할을 합니다.
선인장(仙人掌)의 꽃이 피는 화좌(花座-꽃자리)에는 가시가 밀생하며 꽃 모양과 색이 다양하지만, 꽃의 개화수(開花數)가 적고 개화기간(開花期間)이 불규칙합니다. 선인장(仙人掌) 개화기간(開花期間)은 2~3일 1개월 정도이며 원색적(原色的-색이 강렬하며 자극적이고 화려한 것)인 꽃을 볼 수가 있습니다. 꽃은 자가 불화합성(自家不和合性-한 개의 꽃 또는 같은 계통의 꽃 사이에서 수분이 이루어져도 수정하지 않는 현상), 타가수정(他家受精-다른 나무의 꽃으로부터 꽃가루를 받아서 수정)을 합니다.
선인장(仙人掌)의 꽃은 6월~8월에 자좌(刺座)와 연결된 가지의 가장자리에, 황색(黃色)의 다판화(多瓣花-꽃잎이 많은 꽃)가 1송이씩 피거나 꽃송이가 여러 개씩 모여 달려 핍니다. 꽃의 지름은 8~15㎝이며 꽃잎과 꽃받침이 서로 구별되지 않는 꽃이 피는데, 꽃은 길 다란 대롱처럼 생겼으며, 꽃 아래쪽에 하나의 방으로 된 씨방이 자랍니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많으며, 아래쪽은 붉은색을 띱니다. 수술은 많고, 전체가 노란색입니다.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흰색입니다.
※선인장(仙人掌) 접목(接木) 번식(繁殖).
선인장(仙人掌) 접목(接木) 번식(繁殖)은 생육(生育)을 촉진(促進)하고자 할 때 이용합니다. 이 밖에 엽록소(葉綠素-녹색 식물의 잎 속에 들어 있는 녹색의 화합물)가 적은 선인장(仙人掌)을 존속(存續-어떤 대상이나 현상이 그대로 계속 존재하거나, 그 존재의 자취가 남아 있음) 시키기 위하여 이용합니다. 유색변이종(有色變異種-빛깔이 있는 같은 종류의 개체 사이에서 형질이 달라진 종류)은 엽록소(葉綠素)가 풍부(豐富)한 녹색(綠色)의 대목(臺木-접을 붙일 때 바탕이 되는 나무)이 필요합니다. 대목조건(臺木條件)은 뿌리가 튼튼해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해야 하고, 접수(椄穗-접붙일 때 바탕나무에 꽂는 나뭇가지)와의 친화성(親和性)이 강해야 합니다. 접목(接木) 후의 수명(壽命)이 길어야 하고, 대목(臺木) 자체의 번식(繁殖)이 쉬워야 합니다. 이 밖에 바이러스에 감염(感染)되지 않아야 합니다. 대목(臺木)으로 사용하는 선인장(仙人掌)은 약 40여 종(種)이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 재배 기술.
선인장(仙人掌)은 최소한의 관리(管理)로 오랜 기간 즐길 수 있는 관상식물(觀賞植物)입니다. 따라서 선인장(仙人掌)의 형태나 가시의 색과 형태, 그리고 품종의 특성에 맞게 알맞은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선인장(仙人掌)은 자생지(自生地) 환경(環境)을 고려(考慮)하여 관수(灌水)할 때는 충분하게 해주는 등 물관리를 잘해주어야 합니다. 이 밖에 비료(肥料)를 적절하게 사용해주어야 하고, 선인장(仙人掌)을 재배(栽培)하는 용토(用土)는 배수성(排水性), 보수성(保水性), 통기성(通氣性)이 좋아야 하며, 재배(栽培) 용토(用土)에 석회(石灰)를 넣거나 주기적으로인 용토(用土) 및 분(盆) 갈이가 필요합니다.
재배(栽培) 용토(用土) 종류에는 물의 확산(擴散-흩어져 퍼짐)과 취급이 쉬운 개울가 모래, 보수력(保水力)이 좋은 부엽토(腐葉土), 부식토(腐植土), 훈탄(薰炭) 등이 있습니다.
※부식토(腐植土)-동물의 유체나 그것들이 부패하여 생긴 부식질이 20% 이상 섞인 흙. 완숙(完熟)된 것을 건조하여 청결(淸潔)하게 사용합니다.
※훈탄(薰炭)-왕겨를 태워 탄화시킨 것 10~20% 혼합사용.
이 밖에 인공용토(人工用土)인 경석립, 바크(수피),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클레이트볼 등이 있습니다.
참고 문헌-다음 백과, 국립중앙과학관 야생화 과학관, 국립생물지원관 생물다양성 정보, 학습 그림 백과, 익생양술대전, 호재 농원.
'우리나라 자생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자생 식물 싱그러운 모과나무 열매. (0) | 2022.01.11 |
---|---|
관상용(觀賞用)과 약용으로 이용하는 다육식물(多肉植物) 선인장.-하. (0) | 2022.01.10 |
인기 정원수(庭園樹)이자 유실수(有實樹)인 감나무(하). (0) | 2022.01.08 |
인기 정원수(庭園樹)이자 유실수(有實樹)인 감나무(중). (0) | 2022.01.07 |
인기 정원수(庭園樹)이자 유실수(有實樹)인 감나무(상). (0) | 202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