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생식물.

관상용(觀賞用)과 약용으로 이용하는 다육식물(多肉植物) 선인장.-하.

풀꽃사랑s 2022. 1. 10. 15:10

 

설황.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설황.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선인장(仙人掌) 생육환경(生育環境).

선인장(仙人掌)은 우기(雨期-일 년 중에 장마가 지거나 하여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생장(生長)하고, 건기(乾期)에는 휴면(休眠-환경적 원인으로 동식물이 일시적으로 발육을 정지하거나 극히 기본적인 활동만 하는 상태)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기온이 따뜻한 우기(雨期)에 생장(生長)하면 여름형인 하형(夏形), 기온이 서늘한 우기(雨期)에 생장(生長)하면 겨울형인 동형(冬形)입니다. 대부분의 선인장(仙人掌)은 봄과 가을에 생장(生長)이 이루어집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육식물(多肉植物)인 선인장을 온실(溫室)이나 비닐하우스, 실내(室內)에서 화분에 심어 가꾸고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이 자라는데 최적의 생육 온도는 최저 15이상~최고 35이하입니다.

 

외부 온도가 높은 한여름에는 차광(遮光-햇볕을 가려줌)과 문을 열어주고 밤에는 바람이 잘 통하게 통풍(通風)을 해주어야 합니다. 추운 겨울철에는 기온이 5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관리를 잘해주어야 합니다. 햇볕은 생장(生長)기는 물론 휴면(休眠)기에도 충분하게 잘 받아야 합니다. 이 밖에 봄부터 가을까지 햇볕이 지나치게 강하고 온도가 높으면 차광(遮光)과 통풍(通風)을 하여 실내 온도를 낮추어 주어야 합니다. 특히 강한 햇볕에 화상 피해를 받아 상처가 생기면 일소현상(<日燒現象>-강한 햇볕에 식물이 타는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선인장(仙人掌) 관수(灌水), 비료(肥料) ()갈이.

선인장(仙人掌)은 사막(沙漠)이나 건조(乾燥)한 지방(地方)에 잘 적응하여 자라며, 대부분 남북 그리고 중앙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입니다. 땅 위에서 자라는 선인장(仙人掌)들은 유기물(有機物)이 포함되지 않고 적당히 물이 빠지는 토양을 좋아하지만, 다른 상태의 토양(土壤)에서도 잘 자랍니다. 대부분의 선인장(仙人掌)이 매우 건조(乾燥)한 지역에서도 살아남지만, 성장기(成長期)에는 물이 있어야 합니다. 주로 화분(花盆)에 심는 선인장(仙人掌)의 경우, 수분이 완전히 마르도록 놓아두면 생기가 떨어집니다. 반대로 물을 너무 많이 주면 선인장이 죽습니다.

 

선인장(仙人掌)은 계절(季節), 기후(氣候), 용토(用土), 선인장(仙人掌)의 종류와 크기, ()의 재질과 크기, 생장기(生長期)와 휴면기(休眠期) 등에 따라 관수량(灌水量)과 간격이 변합니다.

물을 주게 되면 분() 밑바닥에 물이 흘러나올 정도로 충분하게 관수(灌水)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더운 여름철 한낮, 추운 겨울철 늦은 오후에는 관수(灌水)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추운 겨울철에는 차가운 물이 아닌 미지근한 물을 주면 좋습니다.

 

선인장(仙人掌)은 비료(肥料)를 많이 줄 필요는 없습니다. 굳이 비료(肥料)를 주어야 할 때는,

비료(肥料) 성분의 용도가 낮은 것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화학비료(化學肥料)보다는, 완숙(完熟)한 계분(鷄糞), 돈분(豚糞) 등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를 분()의 바닥에 소량 시비(施肥)해줍니다. 생장(生長)이 빠른 선인장(仙人掌)은 시중에 판매되는 가루 비료(肥料)를 물에 용해(溶解)시켜 줍니다. 또 다른 방법은 초화류(草花類)에 사용되는 액비(液肥)를 물에 5~10배 엷게 희석(稀釋)시켜 사용합니다. 이 밖에 선인장(仙人掌) 상태가 안 좋을 때는 분()에 담겨 있는 용토(用土)를 갈아줍니다.

 

식물재배에 있어서 화분(花盆)은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입니다. 특히 다육식물(多肉植物)인 선인장은 노지(露地)에서는 거의 재배하지 않습니다. 온실이나 하우스에서는 일부 화분(花盆)이 아닌 노지(露地) 재배를 하고 있을 뿐입니다. 선인장(仙人掌)90% 이상 화분(花盆)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 재배에서 화분(花盆)의 용도는 용토(用土) ()의 수분조절(水分調節), 온도(溫度) 유지(維持) 역할을 해줍니다. 이 밖에 화분(花盆)의 크기는 선인장(仙人掌)보다 조금 큰 것이 좋고, 관수(灌水) 된 물이 잘 빠져나가는 화분(花盆)이 좋습니다.

플라스틱 화분(花盆)은 관상가치(觀賞價値)는 좋으나 통기성(通氣性-공기가 통할 수 있는 성질이나 정도)이 나쁘고, 토양(土壤) 온도(溫度)를 높이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밖에 흙으로 구운 화분(花盆)인 토분(土盆)은 모양은 투박하지만, 통기성(通氣性)이 좋습니다.

칼잎막사국.&nbsp;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nbsp;선인장 온실.
칼잎막사국.&nbsp;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nbsp;선인장 온실.
칼잎막사국.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nbsp;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nbsp;선인장 온실.

선인장(仙人掌)을 모판에서 화분(花盆)에 정식(定植)한 후 1년이 지나면 한 번씩 분() 갈이(옮겨심음)를 해주어야 합니다. 작은 포기일 경우에는 1년에 3~5회 옮겨 주면 잘 자랍니다.

()갈이나 노지(露地) 재배에서 옮겨심기에 알맞은 시기는 휴면(休眠)이 끝나고 생장(生長)을 시작하는 봄에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보통 봄철에는 3~4, 가을철에는 9~10월입니다. 옮겨 심은 후에는 물을 조금 주고 맞바람이 없는 그늘진 곳에 화분(花盆)을 옮겨 놓습니다. 옮겨 심은 후 4~5일이 지난 후 물의 양을 차차 늘려 줍니다. 선인장(仙人掌)은 봄에는 물을 충분하게 주고, 여름에는 야간(夜間-)에 조금씩 줍니다. 이외에 가을에는 물을 충분하게 주고, 겨울에는 단수(斷水-물을 거의 주지 않음)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인장(仙人掌)을 분()갈이해야 하는 이유는 용토(用土)를 새로운 것으로 바꾸어 주고, 뿌리를 정리하기 위해서 합니다.

()갈이 순서-먼저 식물을 분()에서 분리-묵은 흙과 뿌리 정리-화분(花盆)에 다시 옮겨 심음-4~5일 물을 조금씩 줌.

 

선인장(仙人掌) 열매.

선인장(仙人掌) 열매는 서양배, 무화과(無花果) 모양의 열매를 닮은 장과(漿果-과육과 물이 많고 속에 씨가 들어 있는 과실을 통들어 이르는 말) 열립니다. 열매의 길이는 5~10이고, 이듬해 3~5월에 붉은색으로 익습니다. 열매 속에는 씨가 들어 있으며 즙이 많아, 선인장속(仙人掌屬) Opuntia(오푼티아) 선인장(仙人掌) 열매는 지역에 따라서 먹기도 하며, 일부 나라에서는 상업적으로 거래되기도 합니다. 선인장(仙人掌) 열매 표면(表面)에는 털 같은 가시가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 용도(用途).

선인장(仙人掌) 품종(品種) 중 가시가 없는 버뱅크 변종(變種)은 식용이나 소의 먹이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이 밖에 선인장(仙人掌) 열매는 음료수(飮料水)를 빚거나 민간(民間)에서는 의약품(醫藥品)으로도 이용합니다. 일부 선인장(仙人掌) 품종(品種)에는 환각(幻覺- 외부 사물이나 자극이 실제로는 없는데도 마치 그 사물이나 자극이 있는 것처럼 느끼는 감각) 성분인 메스칼린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중 페이요티 선인장(仙人掌)은 북()아메리카 인디언(Indian)의 종교의식(宗敎意式)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화분(花盆)을 이용하여 온실(溫室)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으며, 관상용(觀賞用), 식용(食用), 약용(藥用)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선인장(仙人掌)꽃을 선장화(仙掌花), 열매를 선장자(仙掌子)라고 합니다. ()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니 생즙(生汁)을 내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 이용하기도 합니다. 선인장(仙人掌)은 주로 소화기(消化器), 호흡기(呼吸器),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 질환(疾患)에 효험(效驗)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밖에 야간(夜間)에 이산화탄소를 흡수(吸收)하기 때문에 실내(室內)에 놓아두면 공기가 정화(淨化-깨끗하고 맑아짐)된다고 합니다.

선인장(仙人掌)의 꽃말은 정열(情熱)’, 열정(熱情), 무장(武裝)입니다. 참고 문헌-다음 백과, 국립중앙과학관 야생화 과학관, 국립생물지원관 생물다양성 정보, 학습 그림 백과, 익생양술대전, 호재 농원.

가자니아.&nbsp;&nbsp;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nbsp;선인장 온실.
가자니아.&nbsp;&nbsp;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nbsp;선인장 온실.
가자니아.&nbsp;&nbsp;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nbsp;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
이미지촬영-대구광역시 대구수목원. 선인장 온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