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겨울철새. 101

2022.11.27.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 공원 겨울 철새 탐조여행(探鳥旅行), 홍머리오리,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상.

청둥오리가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1.27.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 공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야생에서 생활하고 있는 흰뺨검둥오리는 사람이 조금만 다가서도 이렇게 살금살금 물살을 가르며 도망을 갑니다. 이미지 촬영=2022.11.27.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 공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야생에서 생활하고 있는 흰뺨검둥오리는 사람이 조금만 다가서도 이렇게 살금살금 물살을 가르며 도망을 갑니다. 이미지 촬영=2022.11.27.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 공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야생에서 생활하고 있는 흰뺨검둥오리는 사람이 조금만 다가서도 이렇게 살금살금 물살을 가르며 도망을 갑니..

2022.11.27.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공원 겨울 철새 탐조여행(探鳥旅行)-제1편.

벌써 계묘년(癸卯年) 새해 두 번째 주 즐거운 주말입니다. 그러고 보니 설날도 8일밖에 남지 않았네요. 유년 시절만 해도 설날이 다가오면 마음이 설레곤 했는데, 요즘은 유년 시절에 느꼈던 설레는 마음이 사라진 지 오래되었습니다. 벌써 시장이나 대형 할인점에는, 설날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는 선물 세트가 가득하게 진열되어 유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 세상살이가 넉넉하지 못하여, 명절이 다가와도 무덤덤한 마음뿐이네요. 오늘도 변함없이 즐거움과 행복이 넘치는 주말 잘 보내세요.^^^

2022.11.26.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공원을 찾아온 겨울 길손,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홍머리오리-하.

추운 겨울 절기가 미처 끝나기도 전에 봄기운을 느끼게 해줍니다. 즐거운 주말을 하루 앞둔 오늘은 아침부터 영상의 날씨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눈이 아닌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욕심 같아서는 심한 겨울 가뭄이 해소될 정도로 충분한 양이 내렸으면 좋으련만, 아침부터 정오까지 내린 비의 양은 겨우 땅을 젖게 할 정도로 적은 양이 내렸습니다. 주말인 내일부터는 또다시 날씨가 추워진다고 합니다. 즐거운 주말을 앞둔 불타는 금요일입니다. 즐거움과 행복이 넘치는 불타는 금요일 잘 보내세요.^^^

2022.11.26.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공원을 찾아온 겨울 길손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쇠오리,홍머리오리-중.

봄부터 가을까지 얼굴을 익혀서 그런지 흰뺨검둥오리가 경계의 눈빛을 하고 있지만, 도망을 가지 않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1.26.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공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봄부터 가을까지 얼굴을 익혀서 그런지 흰뺨검둥오리가 경계의 눈빛을 하고 있지만, 도망을 가지 않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1.26.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공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봄부터 가을까지 얼굴을 익혀서 그런지 흰뺨검둥오리가 경계의 눈빛을 하고 있지만, 도망을 가지 않고 있습니다. 이미지 촬영=2022.11.26.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공원.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봄부터 가을까지 얼굴을 익혀서 ..

2022.11.26. 경북 영천시 금호강 강변 공원을 찾아온 겨울 길손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쇠오리-상.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쇠오리. 작은 오리인 쇠오리는 조류(鳥類) 분류(分類)에서 조강(鳥綱=척추동물에 속한 강), 기러기목(目), 오리과(科)에 속하는 척추동물입니다. 몸집의 크기가 작아 작은(小) 오리라고 해서 ‘쇠오리’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있다고 합니다. 서식지(棲息地=야생 오리들이 사는, 지역)는 유럽과 아시아 대륙 북부 그리고 미국 북부의 툰드라 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철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유럽 남부, 북아프리카 등 남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에서 월동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초가을 철인 9월 상순부터 찾아와 월동하며, 이듬해 늦은 봄인 4월 하순까지 흔하게 볼 수 있는 겨울철새입니다. 주요 서식지(棲息地)는 우리나라 전 지역의 습지, 강, 호수, 늪, 간척지, ..

2022.11.19. 대구광역시 금호강 안심습지 흰뺨검둥오리, 흰죽지, 청머리오리, 알락오리-하.

흰뺨검둥오리입니다. 야생오리들은 이렇게 가족들끼리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이미지 촬영=2022.11.19. 대구광역시 금호강 안심습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흰뺨검둥오리입니다. 야생오리들은 이렇게 가족들끼리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이미지 촬영=2022.11.19. 대구광역시 금호강 안심습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흰뺨검둥오리입니다. 야생오리들은 이렇게 가족들끼리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이미지 촬영=2022.11.19. 대구광역시 금호강 안심습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흰뺨검둥오리입니다. 야생오리들은 이렇게 가족들끼리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이미지 촬영=2022.11.19. 대구광역시 금호강 안심습지. ..

2022.11.19. 대구광역시 금호강 안심습지 물닭, 흰죽지, 알락오리, 청둥오리, 청머리오리,흰뺨검둥오리-중.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청둥오리.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겨울철새 오리 종류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種)입니다. 요즘은 지구의 온난화로 인하여 기후와 환경이 변화면서 점점 우리나라에서 사계절을 보내는 텃새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청둥오리 분류는 척추동물, 기러기목, 오릿과(科), 오리 속(屬)조류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겨울철새 중에서도 개체 수(마릿수)가 가장 많습니다. 기러기목 오릿과에 속하는 야생 오리이며, 대부분 가금(家禽=집에서 기르는 오리) 오리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식지(棲息地=동물이나 조류가 보금자리를 만들어 사는 장소)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 대륙, 그리고 북아메리카대륙의 북부 한대기후(寒帶氣候), 온대기후(溫帶氣候) 지역입니다..

2022.11.19. 대구광역시 금호강 안심습지 흰뺨검둥오리, 흰죽지, 알락오리, 물닭-상.

※오늘부터 꽃피는 춘삼월까지는 대구광역시 금호강을 찾아온 겨울 길손을 중점적으로 포스팅해 보려고 계획 중입니다. 꾸준히 찾아 주시면 매년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야생오리류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얻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겠습니다. 흰뺨검둥오리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1.19. 대구광역시 금호강 안심습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흰뺨검둥오리. 흰뺨검둥오리는 얼굴에 흰색의 반점이 있어서 “흰뺨검둥오리”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있습니다. 또한 흰뺨검둥오리는 1950년대까지만 해도 러시아 연해주, 시베리아에서 번식한 후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들녘이나 호수에서 겨울을 나는 겨울철새로 알려져 있습니다. ..

2022.11.7. 대구시 달성군 송해공원 옥연지를 찾아온 겨울 길손, 흰뺨검둥오리-하.

옥연지를 찾아온 겨울 길손 청둥오리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1.7. 대구시 달성군 송해공원 옥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옥연지를 찾아온 겨울 길손 청둥오리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1.7. 대구시 달성군 송해공원 옥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옥연지를 찾아온 겨울 길손 청둥오리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1.7. 대구시 달성군 송해공원 옥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옥연지를 찾아온 겨울 길손 청둥오리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1.7. 대구시 달성군 송해공원 옥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옥연지를 찾아온 겨울 길손 흰뺨검둥오리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

2022.11.7. 대구시 달성군 송해공원 옥연지를 찾아온 겨울 길손, 흰뺨검둥오리-상.

송해공원을 찾아온 반가운 겨울 길손 흰뺨검둥오리입니다. 이미지 촬영=2022.11.7. 대구시 달성군 송해공원 옥연지.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 흰뺨검둥오리. 흰뺨검둥오리는 얼굴에 흰색의 반점이 있어서 “흰뺨검둥오리”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있습니다. 또한 흰뺨검둥오리는 1950년대까지만 해도 러시아 연해주, 시베리아에서 번식한 후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들녘이나 호수에서 겨울을 나는 겨울철새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우리나라에서 사계절을 보내며 번식을 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텃새가 되어 있습니다. 현재 흰뺨검둥오리는 다른 나라에서 우리나라로 찾아와 겨울을 나는 철새와 사계절을 우리나라에서 나는 텃새로 나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