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의 만남

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여름 여행, 싱그러운 해바라기-4.

풀꽃사랑s 2023. 8. 10. 15:29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이미지 촬영=2023.7.30. 경북 경산시 대부잠수교 금호강 둔치. 이미지를 크게 보시려면 마우스로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말복(末伏).

우리가 알고 있는 복(), 즉 삼복(三伏)은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을 말합니다. 삼복(三伏)은 일 년 24절기 중 열한 번째 절기인 소서(小暑)인 양력 78일경에서, 열네 번째 절기인 처서(處暑) 양력 823일 사이에 들게 됩니다. 삼복(三伏)은 일 년 24절기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삼복(三伏) 기간은 여름철 중에서도 가장 무더운 시기로, 여름철 중에서 몹시 무더운 날씨를 가리켜 삼복(三伏)더위라고 합니다. 삼복(三伏)더위에서 () ()는 한자어로 엎드릴 복자(伏字)인데, 여기서 伏字(복자)는 가을 기운이 내려오다가 너무 더워서 엎드려 있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달력에서 삼복(三伏) 날짜를 정하는 기준은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인 하지(夏至)입니다. 이중 첫 번째 복()인 초복(初伏)은 본격적인 여름철 무더위의 시작을 예고하는 날로,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인 하지(夏至)를 지나서 세 번째 경일(庚日), 중복(中伏)은 네 번째 경일(庚日), 말복(末伏)은 다섯 번째 경일(庚日)입니다. 달력에서 다섯 번째 경일(庚日)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인 입추(立秋)를 지나고 첫 번째 경일(庚日)입니다. 이렇게 경일(庚日)이 삼복(三伏)이 된 이유는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우주나 인간 사회의 현상을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에 따라 해석하는 이론)에서 ()’이 선선한 가을을 뜻하는 ()’의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는 선선한 기운이 여름에 항복한다는 복날의 의미랑 일치하므로, 경일(庚日)을 삼복(三伏)으로 정했다고 합니다.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에 나오는 경일(庚日)은 천간(天干=육십갑자<六十甲子>)에서 과거 연(), (), ()를 셀 때 사용한 단위인 10개의 천간(天干) 7번째 해당하는 날로, <>, <>, <>, <>, <>. <>, <>, <>, <>, <>에서 경()이 들어간 날을 의미하며, 10일 간격으로 나타냅니다. 그래서 셋째 경일(庚日) 초복(初伏)과 넷째 경일(庚日)인 중복(中伏) 사이에 10일의 간격이 생기게 됩니다. 음력(陰曆)은 양력(陽曆)과 달리 매달 육십갑자(六十甲子)인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붙는데, 이는 천간(天干=<>, <>, <>, <>, <>. <>, <>, <>, <>, <>)에다 십이지(十二支=(), (), (), (), (), (), (), (), (), (), (), ()를 조합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삼복(三伏)이 드는 시기도 매년 달라진다고 합니다. 보통 천간(天干)이 총 10개이므로 초복(初伏)과 중복(中伏)10일 간격이고, 말복(末伏)은 입추(立秋)가 일찍 들면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사이는 10일이고, 입추(立秋)가 늦게 들면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사이는 20일이 됩니다.

()날은 열흘(10) 간격으로 초복(初伏)에서 중복(中伏)까지 10, 중복(中伏)에서 말복(末伏)까지는 10, 초복에서 말복(末伏)까지는 20일이 걸리게 됩니다. 이렇게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의 간격이 10일씩이면 매복(每伏)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매년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의 간격이 10일 간격으로 들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올해 2023년 달력을 보면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사이 간격이 10일 아닌 20일입니다. 이렇게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사이의 간격이 20일이 되기도 합니다. 초복(初伏)과 중복(中伏)은 매년 날짜만 바뀔 뿐, 초복(初伏)과 중복(中伏) 사이의 간격은 항상 10일입니다. 이렇게 초복(初伏)과 중복(中伏)은 항상 10일 간격으로 들지만, 말복(末伏)의 간격은 입추(立秋) 절기에 따라서 10일 이상 늘어나기도 합니다.

평소와 달리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사이 간격이 10일 이상 날짜가 늘어나는 이유는,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사이에 가을이 시작된다는 입추(立秋) 절기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삼복(三伏) 중 말복(末伏)은 입추(立秋) 절기보다 앞에 들지 못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사이 간격이 20일이 되어, 평소보다 말복(末伏) 10일이나 뒤로 밀려난 해를 월복(越伏=보통 10일인 중복과 말복의 사이가 20일 간격으로 늘어나는 일)이라고 합니다. 2023년인 올해는 입추(立秋)가 양력 87일 이므로, 양력 85일이 말복(末伏)이어야 하는데, 입추(立秋) 뒤로 밀려 7번째 경일(庚日)815일이 말복(末伏)이 되므로 월복(越伏)에 해당하는 해입니다. 올해처럼 월복(越伏)인 해에는 여름철 무더위가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늦더위가 맹위를 떨친다고 합니다.

2023년인 올해 초복(初伏)은 양력 711일입니다. 복날은 10일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중복(中伏)은 양력 721일입니다. 그러면 말복(末伏)10일 후인 양력 731일이어야 하는데, 여기에 10일을 더한 양력 810일입니다. 이렇게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사이 간격이 10일이 아닌 20일로 건너뛰는 것을 월복(越伏)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월복(越伏)이 드는 이유는, 엄격한 계산법 때문이라고 합니다. 보통 초복(初伏)은 하지(夏至) 후 세 번째 경()일에 들게 되고, 중복(中伏)은 네 번째 경()일에 들게 됩니다. 날짜로 계산하면 초복(初伏)이 지난 후 10일째 되는 날이 중복(中伏)입니다. 말복(末伏)은 대부분 중복(中伏)이 지난 후 10일 안에 들어 있는 입추(立秋)를 지나고 들게 되는데, 때에 따라서는 입추(立秋)가 열흘을 넘어서 들기도 합니다.

2023년인 올해가 그렇습니다. 말복(末伏)은 반드시, 입추(立秋) 후 첫 번째 경()일에 들게 됩니다. 그런데 올해 입추(立秋)가 중복(中伏) 이후 18일 만인 약력 88일이어서, 2일 후인 양력 810일이 말복(末伏)이 들게 되면서 월복(越伏)이 됩니다. 월복(越伏)은 중복(中伏)이 지난 후 10일 이후에 입추(立秋)가 드는 해에 들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해에는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사이가 10일이 더 늘어나게 됩니다. 이런 경우를 월복(越伏)이라 하는데, 속설(俗說)에 의하면 월복(越伏)이 들어 있는 해에는 여름 날씨가 더 무덥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통상 삼복(三伏)20일로 끝나지만, 월복(越伏)이 들게 되면, 삼복(三伏) 기간이 30일로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초복(初伏)은 보통 양력 711일부터 19일 사이로, 소서(小暑)와 대서(大暑) 절기의 중간이며 본격적으로 여름철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옛날부터 복날에는 보신(補身=영양분이 많은 음식이나 보약 따위를 먹어 몸의 기운을 도움)을 위하여 특별한 음식 즉 복달임 음식을 즐겨 먹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관리들에게 더위를 이겨내라는 뜻으로 소고기를 하사했다고 합니다. 일반 서민들은 소고기보다는 인삼과 한약재를 닭고기와 함께 푹 달인, 삼계탕(蔘鷄湯)이나 닭백숙을 즐겨 먹고 무더운 삼복(三伏)더위를 이겨냈다고 합니다. 이 밖에 팥죽을 쑤어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도 걸리지 않는다고 하여, 팥죽을 쑤어서 먹기도 했다고 합니다. 한편, 아이들이나 여인(아낙)들은 참외나 수박을 즐겨 먹었고, 어른들은 산간 계곡에 들어가 탁족(濯足=발을 씻음)을 하면서 여름철 무더위를 피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해안지방에서는 바닷가 백사장에서 모래찜질하면서 무더위를 이겨냈다고 합니다.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하면 몸이 여윈다는 속신(俗信=민간에 전하는 미신적인 신앙 관습)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속신(俗信) 때문에 복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목욕하지 않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초복(初伏) 날에 목욕했다면, 중복(中伏)과 말복(末伏) 날에도 목욕해야 했다고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복날마다 목욕해야만 몸이 여위지 않는다는 속신(俗信)을 믿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복날에는 논에 심어놓은 벼가 나이를 한 살씩 먹는다고 합니다. 벼는 줄기마다 마디가 셋 있는데,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이 지날 때마다 마디가 하나씩 생기며, 이것이 벼의 나이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렇게 벼는 마디가 셋이 생겨야만, 벼 이삭이 올라온다고 합니다.

한편 복날에 비가 오면 청산(靑山), 보은(報恩)의 큰 아기가 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것은 충청북도 청산(靑山)과 보은(報恩)이 우리나라에서 대추가 많이 생산되는 지방인 데서 유래한 속설(俗說=학문적이나 과학적 검증을 거치지 않은 채 세간에 전해 내려오는 학설이나 견해)이라고 합니다. 대추나무는 복날마다 꽃이 핀다고 하는데, 복날에는 날씨가 화창하고 맑아야 대주 열매가 잘 열리게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복날 비가 내리면 대추 열매가 열리기 어렵고, 결국 대추 농사는 흉년이 들게 됩니다. 그러므로 대추 농사를 많이 하는 지방에서는, 혼인비용(婚姻費用=결혼식 비용)과 생계(生計=살아갈 방도나 형편)에 있어서 차질이 생기기에, 이를 풍자해서 지어낸 말이라고 합니다. 참고 문헌=한국 민족 대백과 사전, 다음 백과. 인터넷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