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첨성대 신라천년 꽃밭에핀 싱그러운 접시꽃. 초여름에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꽃하면 금계국,루드베키아. 샤스타데이지, 천인국. 백합 그리고 이 접시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초여름에 피는 꽃들도 봄꽃 못지않게 화려함과 아름다움을 품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지요. 접시꽃은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와 유사하게 .. 꽃과의 만남 2019.06.23
대구 수목원에 핀 초여름 별들-2. 양국수나무입니다. 원산지는 중국이라고 합니다. 가막살나무. 가을에 붉은열매가 예쁜나무입니다. 말채나무입니다. 위에 있는 가막살 나무꽃송이와 유사하게 닮은 점이 있습니다. 앏은잎 고광나무입니다. 고광나무는 강원도등 산세가 깊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야생화입니다. 만첩빈도.. 꽃과의 만남 2019.06.20
경북 청도 화양 읍성 꽃밭에서 노닐다 식물원의 초여름. 붉은 병꽃입니다. 야생에서도 볼 수 있는 꽃입니다. 여름구절초 사스탸 데이지입니다. 금낭화입니다. 낮달맞이꽃입니다. 붉은 인동덩굴. 황금달맞이꽃입니다. 무뉘병꽃나무입니다. 야생종이 아닌 원예종입니다. 수염패랭이 꽃입니다. 붉은 수염패랭이꽃입니다. 금계국입니다. 경북 청도.. 꽃과의 만남 2019.06.15
신록의 계절 푸른 5월 대구 수목원에 핀 초여름별들. 불두화입니다. 얇은잎 고광나무 입니다. 고광나무는 야생에서 자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토종야생화 입니다. 강원도등 깊은 산속에서 볼 수 있는 나무이지요. 저도 이나무를 강원도에서 보았답니다. 부처님의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불두화라고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지요. 이꽃은 처음에는.. 꽃과의 만남 2019.06.09
경북 청도 화양읍성 싱그러운 작약꽃밭. 뿌리가 한약재로 쓰이는 작약은 옛날부터 재배해오던 친근감이 있는 꽃입니다. 작약은 한약재로 쓰이는 식물이지만 요즘은 조경용이나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지요. 꽃은 장미꽃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으나 꽃송이에서 향기가 없다는 것입니다. 꽃은 5월 중수부터6월 초순 사이에 .. 꽃과의 만남 2019.06.08
경주 첨성대 붉은 꽃양귀비. 대표적인 초여름꽃이죠. 붉은 꽃양귀비입니다. 일반 양귀비는 마약의 원료로 이용되지만 원예종인 붉은 꽃양귀비는 조경용으로 많이 심지요. 접시꽃인데 아직 꽃이 피지 않았습니다. 사계절 채송화라고 하지요. 송엽국입니다. 5월중순에서 5월 말일경에 꽃을 볼 수있는 원예종인 디기탈.. 꽃과의 만남 2019.06.05
신록의 계절 푸른 5월 대구 수목원-2. 둥글레꽃입니다. 이쁘죠? 산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답니다. 산사나무입니다. 홍철쭉(연산홍)입니다. 무뉘둥글레입니다. 야생에서는 볼 수 없는 원에종입니다. 금낭화입니다. 강원도등 깊은산속에서 자생하고 있는 야생화입니다. 불두화입니다. 백당나무입니다. 덜꿩나무의 품종인 털설.. 꽃과의 만남 2019.05.22